지난해 매출 2조2561억원, 영업손실 326억원
티메프 사태 영향 미반영시 영업이익 94% ↑
‘다키스트데이즈’ 등 유망 신작 잇달아 출격
“핵심 경쟁력 강화 및 구조 효율화로 수익성 제고”
지난해 연간 최대 매출을 기록한 NHN이 티메프 사태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발생 여파로 적자 전환했다.
NHN은 연결기준 2024년 4분기 매출이 6439억원, 영업이익은 250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올랐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연간 매출은 전 사업 부문이 고르게 성장하며 전년 대비 8.2% 증가한 2조4561억원으로 연간 최대치를 달성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3분기 티메프 사태로 인한 미회수채권의 대손상각비 반영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적자전환하며 326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티메프 관련 일회성 비용을 제외할 경우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4%증가한 1081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4분기 부문별 매출을 살펴보면, ▲게임 부문은 주요 웹보드게임과 일본 모바일게임의 선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1190억원을 기록했다.
‘한게임 포커클래식’이 신규 경쟁 콘텐츠인 길드전 도입 효과로 분기 최대 매출을 거뒀다. ‘한게임 더블에이포커’도 ‘빗썸-더블에이포커 챔피언십’의 성공적인 개최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배 이상 증가, 전체 웹보드게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늘었다. 일본에서 서비스 중인 ‘컴파스’는 현지 만화 ‘헌터X헌터’와의 협업과 8주년 오프라인 이벤트 효과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결제 및 광고 부문은 NHN페이코의 B2B(기업간거래) 사업 성장과 NHN KCP의 해외 가맹점 거래금액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4.8% 3070억원을 기록했다. NHN페이코의 주력 사업인 B2B 기업복지솔루션은 4분기 거래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44%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 갔다.
▲커머스 부문은 불확실한 대외 여건 지속과 이에 따른 경영 효율화 과정에서 전년 동기 대비 16.6%감소한 612억원을 기록했다. NHN커머스의 중국 사업 담당 IBT는 화장품 브랜드 신규 유통 사업의 호조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30% 늘었다.
▲기술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50.2% 증가하며 분기 최대인 1185억원을 달성했다. NHN클라우드가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둔 가운데, NHN두레이와 NHN테코러스도 각각 두 자릿수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주요 기술법인들의 매출이 고르게 증가했다.
▲콘텐츠 부문은 NHN링크의 연말 공연사업 성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518억원을 기록했다.
NHN은 올해 게임사업에서 유의미한 성과 창출에 집중하는 한편,주요 사업 부문별 구조 효율화 노력을 지속하며 수익성 개선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NHN 정우진 대표는 “지난해 티메프 사태가 경영환경의 핵심 변수로 작용했지만, 해당 영향을 제외 시 연간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며 그간의 수익성 개선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에도 주요 사업 부문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며, 게임사업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창출하고 인공지능(AI) 트렌드와 맞물려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클라우드 사업에서도 존재감을 확고히 다지는 한 해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