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2만4000가구 공급…지방 55%
지방, 수도권보다 높아…대구 3000가구 넘어
정부 지원책 CR리츠·LH 매입도 실효성 의문
지난 2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2만3000건을 돌파하며 한 달 만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방에서 미분양 물량이 쌓여가는 가운데 이 달에만 1만 3000가구의 아파트가 쏟아질 예정이라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 국토교통부가 전날 발표한 ‘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9179가구로 전월(1만8426가구) 대비 4.1%(753가구) 확대됐다.
특히 경북(2502가구)과 경남(2459가구)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전월 대비 각각 13%(288가구)와 21%(427건) 급증한 수준이다.
같은기간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수는 2만3722호로 전월 대비 3.7%(850가구)가 증가했다. 지난 2013년 10월(2만4667가구) 이후 처음으로 2만3000가구를 넘겼는데 11년 4개월만에 최고치다.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보다 3.5% 감소했지만 준공 후 미분양은 1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특히 지방의 증가세는 수도권을 크게 웃돌았다.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은 1월 4446호에서 2월 4543호로 2.2%(97가구) 증가했는데 이는 지방 전체의 절반 수준으로 경상권과 비교하면 차이가 컸다.
상대적으로 가구 수가 적은 충북의 경우, 준공 후 미분양이 565가구에 그쳤지만 증가세는 40.2%(162가구)로 전국 최대를 기록했다. 전남은 1.8% 줄었지만 여전히 준공 후에도 분양 받지 못한 물량이 2400가구를 웃돌았다.
문제는 이달 전국 분양 예정 아파트만 3만4000여 가구에 달한다는 것이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달 총 26곳 3만3814가구(임대 포함·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된다.
이 중 2만4265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각각 수도권 일반분양 물량은 1만844가구(44.69%), 지방은 1만3421가구(55.31%)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경기 8143가구(10곳·33.56%) ▲부산 4514가구(6곳·18.60%) ▲경북 4157가구(3곳·17.13%) 등의 순으로 공급 물량이 많다.
경상권은 악성 미분양 아파트가 넘쳐나는데 이 달 또 새 아파트 물량이 공급되는 것이다. 건설사들도 중도금 무이자 금리 혜택과 할인 분양 등에 나서고 있으나 미분양 물량이 쉽게 해소되지 않는 실정이다.
악성 미분양이 가장 심각한 대구에서는 분양 당시보다 1억원 넘게 분양가를 깎아주는 아파트들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2월 말 기준 대구는 악성 후 미분양이 가장 많은 곳(3067가구)으로 전월 대비 0.3%(8가구) 감소한 것이 그나마 위안거리였다.
서구 내당동 반고개역 푸르지오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1억원 넘는 할인 분양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성구 황금동 힐스테이크 황금역 리저브1·2단지도 분양가를 최대 10% 할인 중이다. 중구 태평로3가 힐스테이트대구역퍼스트 아파트에서는 최대 1억3000만원 마이너스피도 등장했다.
건설사들은 끝내 분양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정부가 지원책으로 내세운 기업구조조정(CR)리츠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넘기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 정부는 LH를 통해 지방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3000가구를 감정평가액 83% 이하로 매입한다. 이달부터 신청을 받고 있다.
다만 실효성은 미지수다. LH가 매입하기로 한 물량이 전체 악성 미분양의 17%에 불과해 충분치 않고 매입 이후에도 공실이 장기화된다면 LH 재무 안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CR리츠 등으로 넘길 경우에는 매입가가 20~30%까지 낮아져 쉽게 들어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방 미분양 해소를 위해서는 투자가 되살아 나야 한다”며 “단기 정책 지원보다 세금이나 대출 등에서 지방에 주택 매입을 해도 괜찮다는 확신과 신뢰를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