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유통업계 상반기 결산-하]규제 강화에 갑질 논란…‘사면초가’ 유통업계 활로 찾기


입력 2017.06.30 06:00 수정 2017.06.30 05:55        최승근 기자

갑질 논란 확산되며 프랜차이즈 산업에 대한 부정 여론 확산

롯데‧신세계 등 대형 유통사 중심으로 고용 늘리고 상생 정책 잇따라 발표

프랜차이즈 업계가 사면초가에 빠졌다. 업종 특성 상 점포 수를 늘려야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지만 계속되는 신규 출점 제한 규제로 성장 동력을 잃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은 한 프랜차이즈박람회 전시장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부터 이어진 사드 이슈가 올 1분기 유통업계의 발목을 잡았다면 2분기에는 각종 규제와 잇따라 불거진 갑질 논란이 유통업계 전반을 휩쓸었다. 특히 새 정부 출범 이후 생활물가 인상과 더불어 ‘상생’이 전 산업계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대형 유통업체들을 겨냥한 규제가 우후죽순 생겨났다. 여기에 최근 들어 가맹본사와 가맹점 간 불공정 거래 이슈가 확산되면서 프랜차이즈와 외식업계의 입지도 점차 좁아지는 분위기다.

29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대 국회에서 발의돼 계류 중인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25건에 달한다. 현재 한 달 2번인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을 4번으로 늘리고 면세점과 백화점 등으로 대상을 확대한다는 내용 등이 포함돼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일부 프랜차이즈 업종은 신규 출점 제한이 걸려 있는 상태인데 최근엔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대상으로 품목 규제까지 하겠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며 “출점에 품목까지 제한하는 건 사업을 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사업을 하면서 올해처럼 어려웠던 적도 없었던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지난 27일에는 가맹점 권익 강화를 골자로 하는 가맹사업법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전까지는 가맹본사와 가맹점 간 분쟁 발생 시 양측이 합의만 하면 본사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조치가 면제됐다. 하지만 개정안 통과로 이제부터는 가맹본사와 가맹점이 합의한 내용이 전부 지켜지지 않을 경우 공정위의 시정조치나 권고사항이 면제되지 않는다.

또 가맹본부의 가맹사업법 위반으로 피해를 본 가맹점주가 기한 내에 분쟁조정신청을 했을 경우 상호 조정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법정 조사개시시한에 관계없이 공정위가 가맹본부를 조사할 수 있게 됐다.

미스터피자가맹점주협의회가 서울 서초구 MPK그룹 본사 앞에서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데일리안

여기에 최근 들어 유통업계 갑질 논란을 키운 미스터피자 사태를 비롯해 치킨 프랜차이즈 회장의 성추행 사건, 치킨 가격 인상 번복 사태 등 부정적인 사건이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연이어 발생하면서 유통업계를 향한 여론의 시선도 악화됐다.

지난해부터 올 초 사드로 인한 피해를 채 수습하기도 전에 ‘규제’와 ‘갑질 논란’이라는 대형 악재가 겹치면서 유통업계에서는 올해 장사는 이미 망쳤다는 하소연이 나오고 있다.

특히 프랜차이즈 업계의 경우 이번 사태로 가맹본사는 물론 애꿎은 가맹점들까지 피해가 확산되면서 가맹점주들의 불만도 높은 상황이다.

유통업계는 당초 대형 유통업체들에게 규제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최근 잇따른 프랜차이즈 업계의 갑질 논란으로 인해 공정위를 비롯해 검찰과 국세청의 관심이 프랜차이즈 업계를 향하자 잔뜩 움츠린 분위기다. 프랜차이즈 사업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도가 매출과 직결되기 때문에 부정적인 여론이 장기화될수록 부담이 커져서다.

올 상반기 유통업계에 대형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유통업체들은 파격적인 세일 행사를 통해 소비 심리 끌어올리기에 나서고 있다. 예년 여름 정기 세일 시기를 앞당기거나 세일 폭을 확대해 꽁꽁 얼어붙은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일자리 창출과 중소 상인들과의 상생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에 동참하며 발 빠르게 활로를 모색한 기업들도 하나 둘 나타나고 있다.

롯데그룹은 향후 3년간 비정규직 근로자 1만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5년간 7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밝혔고, 신세계는 지난달 31일 중소협력사와 함께하는 상생 채용박람회를 열어 올해 1만5000명 규모의 신규 채용에 나섰다. 전체 채용 인원의 90% 이상을 정규직으로 뽑을 예정이다.

이마트는 지역 전통 시장과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유통 모델을 선보였다. 지난 27일 문을 연 경북 구미 노브랜드 청년 상생스토어는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점포다. 신선식품 판매 비중이 높은 전통시장의 특성을 감안해 매장에서는 공산품 위주로 상품을 배치하고, 놀이터·고객쉼터 등 편의시설을 설치해 전통시장을 찾는 고객들의 발길을 붙잡겠다는 전략이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