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2분기 경제성장률 0.6%…국민소득도 감소


입력 2017.09.01 08:14 수정 2017.09.01 08:33        이나영 기자

건설업 부진 영향…1분기보다 성장세 둔화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한국은행

올 2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0.6%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2017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403조4706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2분기 성장률은 지난 7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은 수치다.

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1분기 1.1%에 비해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2분기 GDP는 작년 동기(원계열 기준)보다 2.7% 늘었다.

GDP 성장률을 구체적으로 보면 민간소비는 1분기 0.4%에서 2분기 1.0%로 상승했다.

2015년 4분기(1.5%) 이후 1년 6개월 만에 1%대를 기록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기대감에 따른 소비자심리 개선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소비도 1.1% 늘면서 전분기(0.5%)에 비해 성장률이 크게 상승했고 설비투자 증가율은 5.2%로 1분기(4.4%)보다 늘었다.

반면 건설투자 증가율은 토목건설 감소 영향으로 0.3%에 그쳤다.

수출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이 줄면서 2.9% 감소를 나타냈고 수입은 원유 수입이 줄면서 1.0% 떨어졌다.

업종별로 보면 농림어업(-1.1%), 제조업(-0.3%), 건설업(-1.3%)은 마이너스 성장률을 나타냈고 서비스업은 0.8%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비스업 성장률은 2015년 3분기 이래 7분기 만에 가장 높았다.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401조6268억원(계절조정계열 기준)으로 1분기(403조9315억원)보다 0.6% 줄었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의 소득을 합친 것이다.

한은 측은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 지급한 배당금이 크게 늘고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질 GNI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는 작년 3분기(-0.4%) 이후 3개 분기 만이다.

총저축률은 35.7%로 1분기(36.9%)보다 1.2%포인트 줄었다.

국내총투자율은 전기 대비 1.0% 포인트 오른 31.5%를 나타냈다.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