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민연금 지분 축소에 지방금융지주 '울상'


입력 2018.04.19 14:48 수정 2018.04.19 15:10        이나영 기자

BNK금융 지분율 11.54%에서 11.19%·DGB금융도 7%에서 5%대로

"채용비리·CEO 리스크·규제 강화 등으로 경영 여건 불확실성 커"

국민연금공단이 BNK금융지주와 DGB금융지주의 투자 지분을 줄이고 있다.(왼쪽부터) BNK금융지주 본사, DGB금융지주 본사.ⓒ각 사

국민연금공단이 BNK금융지주와 DGB금융지주의 투자 지분을 줄이고 있다. 채용비리 의혹 등 각종 비리혐의로 최고경영자(CEO)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 이에 따라 BNK금융과 DGB금융은 조직 쇄신과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올 들어 BNK금융의 기존 보유주식 3760만4467주 가운데 113만853주를 팔았다. 이로 인해 국민연금의 지분율은 11.54%에서 11.19%로 감소했다.

2대 주주인 롯데지주·쇼핑 등 롯데그룹(11.14%)과 지분율 차이가 0.05%포인트에 불과한 셈이다.

DGB금융에 대한 지분도 줄었다.

국민연금은 DGB금융 지분율을 기존 7.00%에서 이달 5.99%로 낮췄다. 작년 3월까지만 해도 국민연금은 지분율을 9.14%로 끌어올렸지만 그해 5월 이후 매도세를 이어갔다. 그 결과 9%에 달했던 지분율은 8.13%에서 7%대까지 떨어지면서 올 1월에는 삼성생명(6.95%)에 최대주주 자리를 내줬다.

BNK금융과 DGB금융에 대한 국민연금 지분 감소 배경은 채용비리는 물론 전·현직 수장을 둘러싼 각종 논란 등이 부담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BNK금융은 엘시티 특혜대출에 이어 주가 시세조정 혐의 등으로 전 수장들이 줄줄이 재판에 넘겨졌고 은행권 채용비리 사태에도 연루됐다. 그동안 지방은행 1위 자리를 지켜온 부산은행의 지난해 실적도 저조했다.

실제로 지난해 BNK금융의 당기순이익은 4031억원으로 1년 전보다 19.6% 감소했다. 실적 감소는 부산은행의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 영향이 컸다. 부산은행은 작년 3246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이는 2016년(1858억원)보다 1400억원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DGB금융의 경우 박인규 전 회장 겸 대구은행장이 비자금 조성 의혹에 휘말리면서 지난달 말 결국 사퇴했다.

박 전 회장은 취임 직후인 2014년 4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함께 입건된 간부 16명과 법인카드로 32억7000만원 상당 상품권을 구매한 뒤 판매소에서 수수료를 제하고 현금화하는 일명 '상품권 깡' 방법으로 비자금 30억여원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BNK금융과 DGB금융 모두 채용비리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점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이다.

여기에다 규제 리스크와 지배구조 불확실성 등으로 은행주에 대한 매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정욱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 1분기 중 은행주는 5.0% 하락해 코스피 대비 큰 폭 초과하락했고 이번달에도 급락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생산적 금융을 위한 자본규제안 확정, 신 총부채상환비율(DTI) 시행 등 가계대출 억제 본격화, 대출금리 인하 압력 등 규제 분위기가 지속된데다 채용비리 이슈로 지배구조 불확실성 또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주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지만 올 1분기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반등할 여지가 있다”며 “BNK금융과 DGB금융은 실적 발표를 기회로 삼아 영업력을 최대로 끌어 올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