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탄두 소형화·보관·은폐 능력 갖춰
선반출, 임의 사찰로 합의 번복 차단해야
北 핵탄두 소형화·보관·은폐 능력 갖춰
선반출, 임의 사찰로 합의 번복 차단해야
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한 북한이 핵무기 및 관련 시설을 은폐하려 한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핵무기를 숨길 의도와 그것을 이행할 능력이 충분하다고 지적하며 후속 핵협상에서 이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근 미국 국방정보국(DIA)은 북미정상회담 이후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북한이 핵탄두 및 관련 장비·시설의 은폐를 추구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미국이 자신들의 핵 프로그램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핵탄두와 핵시설의 규모를 속여서 보고할 방법을 찾고 있다는 것이다.
또 미국 NBC방송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각) 미국 중앙정보국(CIA) 등 관리들의 발언을 인용해 최근 북미대화 분위기 속에서도 북한은 핵무기 제작을 위한 농축 우라늄 생산을 늘렸다고 보도했다.
우리 정보당국은 북한의 핵탄두 중량이 500㎏ 이하로 충분한 소형화가 이뤄졌으며 이를 보관하고 은폐하는 노하우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북측이 마음만 먹으면 손쉽게 핵무기를 은닉할 수 있어 당초 완전한 비핵화 달성은 북한의 선의에 달렸다는 것이다.
앞서 북한은 6.25 전쟁 직후인 1955년부터 핵 연구에 매진해왔다. 핵무기를 생산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고도화 돼 있고 시설 규모도 광범위한 탓에 핵 기술이 초보적인 수준에 그쳤던 리비아·우크라이나의 비핵화 사례를 적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북한 땅의 80%는 산악지대로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를 은닉할 곳이 많고, 북한은 미국의 인공위성을 피해 은폐하는 기술을 키워왔다”며 “이런 상황에서 핵 시설 폐기 과정을 북한의 말에만 의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장은 “북한은 핵무기를 숨길 자신이 있고, 미국은 숨긴 무기를 찾을 자신이 있었기 때문에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 것”이라고 꼬집으며 “향후 국제정세가 급변하면 북한은 숨겨둔 핵무력 카드를 꺼내 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무기 및 관련시설을 남김없이 처리하는 ‘완전한 비핵화’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다가오는 북미 후속 핵협상에서 핵 선반출 및 무작위 시찰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핵 선반출 합의는 북한의 진정성 있는 비핵화 행동을 이끌어내는데 핵심적인 요소로 꼽힌다. 핵 선반출 합의가 이뤄지면 대북제재를 단계적으로 해제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핵무기와 핵물질을 점점 줄여나갈 수 있어 북한의 합의 번복 위험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북한의 핵무기를 넘겨받은 미국은 정밀 분석을 통해 북한의 핵무기 기술력 및 생산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핵무기 관련 의심 시설에 대한 무작위 사찰 합의도 필수 합의사항으로 꼽힌다. 향후 북측이 국제원자력기구 시찰단에 ‘우리 내부를 무슨 권한으로 보냐’며 일부 시설에 대한 사찰을 거부하면서 핵탄두를 은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 내 의심 가는 시설을 모두 무작위로 사찰할 수 있도록 합의가 맺어지면 향후 핵 발각 가능성에 부담을 느끼는 북한이 일부 핵무기 및 시설을 누락하지 않고 성실한 신고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