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통일부, 北순항미사일 발사에 "민생 개선 매진해야"


입력 2023.02.24 11:26 수정 2023.02.24 11:30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함북 길주군 및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에 대해

방사선 피폭 전수조사 추진"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북한이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힌 가운데 정부는 "무모한 핵·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주민들의 민생 개선에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효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어제 새벽 전략순항미사일 4기를 발사했다고 오늘 아침에 보도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국내외 연구기관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비용을 식량 도입에 사용했을 경우 100만 t 이상을 구매할 수 있는 규모"라며 "이는 북한 전체 연간 식량 부족분을 모두 충당하고도 남는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최근 발사한 장거리 탄도미사일 1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만 계산해도 취약계층 200~300만 명이 약 5개월간 취식 가능할 정도의 식량인 약 10만 t을 구입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에 대해 방사선 피폭 검사를 실시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정부는 2017년과 2018년, 함북 길주군과 그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 중 일부를 대상으로 방사선 피폭 검사를 실시한 바 있다"며 "조사 결과 핵실험에 따른 인과관계가 특정되거나 별도 치료가 필요한 방사능 피폭 사례를 발견하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다만 "당시 조사는 대조군이 없었고, 표본 수가 40명으로 한정적이었다"며 "흡연과 중금속 등 교란변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한 점 등으로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정부가 보다 의미 있는 조사 결과를 얻기 위해 관련 지역 출신 대상자들의 동의를 얻어 올해부터 피폭 전수조사를 추진해나갈 예정"이라며 "피폭 검사는 탈북민의 방사능 영향 및 건강상태 확인을 위해 일반 건강검진과 병행해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대북인권단체 전환기정의워킹그룹(TJWG)은 지난 21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핵실험장 인근에 거주하는 북한 주민 수십만명이 방사성 물질 유출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