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이제 나온다는 건 비공개 아닌 공개 행보한다는 것"
"김종인·조갑제·유인태 말고도 훨씬 더 많이 만났다"
"韓의 '김건희 특검법' 모호한 태도에 12월 3일 계엄"
국민의힘 친한(친한동훈)계 박상수 인천 서갑 당협위원장이 "한동훈 전 대표는 정치를 그만둔 적이 없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유 중 하나가 '한동훈 제거'였음이 분명하다고도 주장했다.
박상수 위원장은 7일 MBC라디오 '시선집중'에서 한 전 대표의 정계 복귀 시점을 묻는 질문에 "이제 다시 나온다고 한다는 것은 정치를 그만둔 적이 없기 때문에 그 행보를 비공개로 행보하는 게 아니라 공개 행보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박 위원장은 "(한 전 대표가) 어디를 다니기만 해도 사진이 찍혀서 '목격담 정치'라고 말이 붙어버리니까, 우리는 '목격담 정치' 말 듣기 싫으니까 들키지 말라고도 했다"면서 "그래서 진짜 들키지 않게 정말 조용히 다니면서 지금 알려진 것은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 조갑제 대표, 그리고 유인태 전 의원 이렇게 알려졌지만 훨씬 더 많이 만났다"고 말했다.
'공개 행보' 시점에 대해선 "그 시점은 한 전 대표가 모두에게 알려야겠다는 시점을 정해서 얘기를 할텐데 그렇게 멀진 않을 것"이라며 "정치를 그만둔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이유로 부정선거, 민주당의 줄탄핵, 예산안 등을 들었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그럼 (4월 18일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 임기가 만료되는) 4개월을 기다려서 (보수 성향의 재판관을 후임으로 임명)하는 것이 완성도를 더 높이는 방법이기에 4개월 정도 기다리는 건 아무 문제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근데 왜 12월 3일인가를 생각하면 당시 한 전 대표가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서 모호한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며 "그래서 한 전 대표를 제거해야겠다는 목적이 있었다면 왜 12월 3일이었는지 설명이 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