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尹 선고 기일 지정'에 與 잠룡들, '눈치보기'…기존 전략 효과엔 '물음표'


입력 2025.04.02 00:40 수정 2025.04.02 05:10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잠룡들 대체로 "안정 우선…승복해야"

김문수·한동훈·홍준표, 공식 입장 無

대선 전략 수정 효과 고심 들어간 듯

지난 2월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윤석열대통령의 탄핵심판 10차 변론이 열린 가운데 자리에 앉은 윤대통령이 변호인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기일이 오는 4일로 정해지면서 여권 잠룡들이 지지자들의 눈치를 보고 있는 모습이다. 탄핵 심판 결론을 예단하기보단 헌법과 법리에 맞는 판결로 국정 수습이 안정화돼야 한다는 메시지를 꺼내들었다. 이에 당 안팎에선 앞서 일부 잠룡들이 탄핵 지연 당시 수정했던 전략이 효과를 발휘할지 여부에 따라, 펼쳐질 가능성이 있는 조기대선 정국에서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란 목소리가 나온다.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윤 대통령 선고 기일이 지정된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헌법재판소 선고가 내려질 때까지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은 결과에 모두가 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결론이 어떻게 나더라도 혼란 없이 국정을 안정적으로 수습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같은 날 페이스북에 "여야 모두 자신이 원하는 결정이 나오지 않더라도, 선고 이후에라도 승복 선언을 해야 한다"며 "정치인에게는 선고 이후의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고 국민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안철수 의원도 "어떤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대통령, 여야 정치권 모두 존중하고 승복해야 한다"며 "여야 정치권은 물론 윤석열 대통령 본인 역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하고 승복해야 한다"는 내용의 페이스북 메시지를 같은 날 게재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공식 입장을 내진 않았지만 친한(친한동훈)계 인사에 따르면, 그는 탄핵 선고기일 지정과 관련해 주변에 "헌법과 헌법 정신에 맞는 결정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역시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지만 이날 한 언론에 윤 대통령 탄핵 선고기일 지정과 관련해 "기각 또는 각하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아예 의견을 내놓지 않았다.


또 다른 대권 잠룡인 나경원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헌재 선고는 단순한 판결을 넘어 대한민국 법치주의의 수준과 헌법 가치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대한 분수령이다"라며 "각하·기각 결정을 통해 헌법 수호 기관으로서의 본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헌재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사건 결과를 선고한다고 언론에 공지했다. 지난해 12월 윤 대통령이 탄핵 소추된 지 111일, 지난 2월 25일 최종 변론이 마무리된 지 38일 만이다.


(왼쪽부터) 여권 대권 잠룡으로 분류되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 ⓒ데일리안DB

당안팎에선 윤 대통령의 선고 기일이 지연되는 상황에 조금씩 전략들을 수정한 일부 잠룡들의 선택 역시 4일 선고 이후에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김문수 장관이다. 김 장관은 민주당이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의 임기 연장 법안과 마은혁 후보자의 자동 취임을 규정한 법안을 발의한 지난달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민주당의 폭거를 막으려면 한덕수 대행이 문·이 재판관의 후임을 빨리 지정해야 한다"고 적은 바 있다.


부처의 장관이 행정부 1인자인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정치적 결단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는 메시지를 꺼내든 것도 이례적이지만, 그동안 정치적 활동에 소극적이던 김 장관이 돌연 태도를 바꾼 것을 두고 다양한 이야기가 쏟아져 나왔다.


특히 일각에선 김 장관이 탄핵 반대 지지층을 향해 강력한 메시지를 꺼내면서 보수 결집에 나선 것이라고분석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으면서, 선명한 보수주의로 무장한 후보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김 장관이 선제적으로 나선 것이란 분석이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이재명 대표 무죄 판결 이후 광장이나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더 센 사람이 나와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게 사실"이라며 "김 장관이 그런 의도를 깔고 메시지를 낸 것인진 모르겠지만, 확실한 건 지금 지지층이 좋아할만한 메시지를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친한계의 입을 빌려 보수통합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일부 수정했다. 친한계로 분류되는 박정훈 의원은 지난달 31일 페이스북에 "지금 대한민국의 주적은 이재명이다 이재명이 집권하면 나라가 망한다"며 "더 큰 가치인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동지에 대한 미움을 거두자"고 호소했다.


사실상 친윤계와 친한계 간의 갈등을 봉합하자는 취지로 한 전 대표가 커져가는 '반탄파'의 마음을 얻기 위해 전략을 '중도확장'에서 '보수통합'으로 바꾼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한 전 대표는 자신의 저서 등을 통해 친윤계와는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을 보여온 바 있다.


홍준표 시장은 지난 30일 페이스북에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40년 87 체제를 청산하고 7공화국을 세우는 것"이라며 "탄핵 정국이 끝나고 나면 갈등과 분열을 청산하고 7공화국의 기초를 세우는 국가 대개조에 나섰으면 한다. 그것이 미래 세대를 위한 '선진대국시대'를 만드는 우리의 역사적 소명일 것"이라고 적었다. 홍 시장이 주장한 제7공화국은 양원제와 부통령제 등 권력구조 개편안을 중심으로 한 개헌이다.


그동안 윤 대통령의 탄핵에 반대하는 의견을 표출해왔던 홍 시장이 개헌 이슈를 다시 꺼낸 것을 두고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할 경우 직접 약속한 "임기에 연연하지 않고 개헌을 추진하겠단" 발언을 우회적으로 종용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특히 개헌은 현 지지층과 중도층이 모두 원하고 있는 이슈인 만큼, 탄핵 심판이 어떤 방향으로 결정나더라도, 이를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양쪽 진영의 민심을 미리 포섭하겠다는 정치적 셈법이 깔린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탄핵이 인용되느냐 기각되느냐를 두고 대권 주자들의 머리들도 엄청나게 아플 것"이라며 "이 상황에서 지지층만 원하는 것도 아니면서도 뭔가 기대를 할 수 있는 이슈를 꺼내 알리는 게 중요한데, 통합이나 개헌은 그에 맞는 이슈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민석 기자 (kms1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