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중도층 이탈 조짐에…국민의힘, 2030대 목소리에 귀 '쫑긋'


입력 2025.04.02 00:30 수정 2025.04.02 00:30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국민의힘 싱크탱크, 사이버도박 등 청년 문제 토론회 개최

권영세 등 지도부 참석해 "청년 목소리 정책 반영 노력"

권영세(뒷줄 왼쪽 두 번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여의도연구원 주최로 열린 '대한민국 정치에 청년이 외친다!' 토론회에서 윤희숙(왼쪽 두 번째) 여의도연구원장, 김채수 중앙대학생위원장 등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최근 국민의힘에서 중도 지지층 이탈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당 지도부가 중도층 비중이 큰 청년들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는 등 청년 민심 잡기에 나섰다. 이러한 행보가 중도층 지지도 하락을 방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6∼28일 무선 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층이라 답한 응답자의 52.1%는 더불어민주당을, 26.2%는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중도층의 민주당 지지도는 6.2%p 늘었고, 국민의힘은 6.8%p 줄었다.


중도층 비율이 높다고 분석되는 20~30대를 보면 같은 기간 민주당은 20대에서 2.3%p 상승, 30대 4.5%p 상승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20대는 2.3%p 감소했다. 30대는 1.3%p 증가했지만 민주당의 증가율에 비하면 3배 이상 적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민주당 대비 중도층 지지 추이가 좋지 않은 가운데 국민의힘은 1일 20~30대 민심 확보에 나섰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이양수 사무총장 등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대한민국 정치에 청년이 외친다! 청년의 삶을 위협하는 新 범죄와의 전쟁을 요구한다' 토론회 참석해 청년층의 의견을 청취했다.


여의도연구원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청년 발표자들이 사이버 도박·디지털 범죄·폭력·마약·사기 등 청년의 삶을 위협하고 있지만 정치권이 제대로 다루지 않아온 다섯 가지 주제를 선정해 실태를 발표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토론회 시작 직후 "청년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제대로 투입하는 과정은 많지 않았다"며 "청년들이 생각하는 큰 이슈의 정책 방향에 있어 최소한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으므로 그런 면에서 (이번 토론회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 발표를 잘 받아들여 우리 정책에 반영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청년들이 가장 먼저 문제점으로 제기한 건 사이버 도박이다. 한국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인정한 한 군데를 제외하고 전부 불법 도박 업체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은 유튜브로 접속하면서 불법 사이버 도박 조직이 심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범죄 수익은 200억~300억원 정도인데 처벌은 솜방망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나날이 늘어가는 해킹 문제도 언급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아파트 거실 벽에 설치된 월패드 등 해킹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데 우리는 계속 첨단기술을 장려하고만 있지 않은지 되돌아봐야 한다며 경각심을 줬다.


청소년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이해력) 부족에 따른 악성댓글, 게임 내 욕설·조롱·희롱 등 사이버 폭력도 심각하다고 봤다. 또 디지털 성범죄에 있어 잊힐 권리를 보장하는 제도도 미흡하다고 주장했다.


가상화폐, 전세 등 사기 문제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청년 발표자로 나선 이동수 칼럼니스트는 "한국에서는 사기를 2건을 저지르든 100건을 저지르든 처벌 수위가 크게 다르지 않다"며 "가중처벌을 도입해야 한다. 단 미국식은 과하기 때문에 한국과 미국 방식의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들의 발표를 들은 권 비대위원장은 " 이러한 범죄들이 많이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젊은 사람들에게 경제적인 불안이 있고, 그 불안을 우리 사회 시스템이 해결해주지 못한 것에서 문제들이 시작되는 것 같다. 사회적으로 해결되지 못한 불만들이 마약과 도박, 디지털 폭력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어느 시스템에서 고장이 제일 많이 났는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암호화폐 테라·루나 폭락 사태 주범인 권도형 테라폼랩스 창업자는 우리나라 법치 시스템으로 제대로 처벌받지 못하니 미국에 가서 처벌 받아 한다는 생각은 우리 사회 법치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증거"라며 "조금 더 근본적인 부분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민단비 기자 (sweetra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