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루푸스 CAR-T 세포치료법 국내 첫 임상 시작
국내 최초로 류마티스 진료를 시작했던 서울성모병원이 난치성 자가면역질환 완치에 도전한다고 15일 밝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면역항암제 중 하나인 CAR-T 세포치료제를 전신성 홍반 루푸스 환자에 국내 처음으로 투여하는 임상연구를 시작했다.
류마티스센터 주지현·이봉우(류마티스내과), 혈액병원 윤재호(혈액내과) 교수팀은 표준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다른 치료 수단이 없는 40대 여성 루푸스 환자에 올해 3월 CAR-T 치료제를 투여했다.
환자는 2009년 임신 중 전신 부종과 단백뇨가 확인돼 검사한 결과 전신성 홍반 루푸스로 진단됐다. 출산 이후 고용량 스테로이드 및 여러 면역억제제 치료를 시행함에도 루푸스 신장염은 관해에 도달하지 못했고, 오히려 장기간 고용량 스테로이드 투약에 의한 부작용으로 무혈성 골괴사가 발생하기도 했다.
여러 면역억제제 치료에도 단백뇨와 신장 기능이 악화되는 추세가 지속됐으며 방치할 경우 루푸스에 의한 신장 손상이 가속화돼 혈액투석이 필요한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상태였다.
환자의 주치의인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주지현 교수는 최근 해외에서 CAR-T 세포제의 치료 적응증이 자가면역질환으로 확대가 되고 있는 의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루푸스 환자의 치료목적 임상시험용 의약품 임상시험을 식약처에서 승인받았다.
류마티스 질환과 혈액질환은 일부 면역학적 접점을 가지고 있으나 대상 질환군이 달라 이제까지 협진이나 공동 치료 사례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서울성모병원은 재발성·불응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이나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축적돼 온 혈액병원의 다양한 CAR-T 세포 치료 경험이 루푸스 환자의 CAR-T 치료 과정에서 큰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3월 투여 이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14일 외래진료를 진행한 결과 환자는 급성 부작용 발생 없이 일상생활 유지가 가능했으며 면역억제제를 중단하여도 루푸스 관련 지표들이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윤재호 교수는 “혈액 질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된 CAR-T 세포 치료법으로 만성신부전으로 악화될 수 있었던 난치성 루푸스 환자를 치료할 수 있어서 의미가 크며 앞으로도 다학제 진료 참여로 난치성 환자의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지현 교수는 “최근 면역억제제 사용으로 루푸스 환자의 10년 생존율이 90~95%까지 보고되고 있으나 일부 환자는 폐, 심장, 신장, 뇌와 같은 주요 장기에 루푸스가 침범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며 “이번 임상을 시작으로 기존 약제에 반응하지 않아 다른 치료 방법이 없는 난치성 루푸스 환자가 완치될 수 있도록 연구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