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 동안 희생했으면 됐지, 언제까지 모르쇠로 일관할겁니까. 내 고향 동두천이 없어져야 끝나는 겁니까”
심우현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장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안보희생에 따른 보상(미군기지 잔류에 대한 보상)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주한미군은 주민들의 마을 통행을 제한하는 불편을 초래하고 있어 시민들의 분노가 절정에 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오는 21일부터 동두천 보산동에 있는 미2사단 캠프 케이시 앞에서 무기한 릴레이 1인 시위에 들어갈 예정이다.
범대위 측은 오죽 답답하면 이러겠느냐며, 정부와 미군의 무책임한 행동과 무관심을 꼬집으며, 시위에 나서는 배경을 설명했다.
범대위 측은 "2014년 동두천에 미군기지가 잔류하기로 결정됨에 따라 정부가 보상을 약속한 지 어느덧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주한미군이 걸산동 신규전입자 패스(부대 통행 허가증) 발급을 제한하자 걸산동 주민들이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받는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진출입 도로가 없어 기존 주민들의 주택 및 토지 매매 등의 재산권 침해도 발생하고 있다. 범대위 측은 이러한 조치가 걸산동으로의 신규 전입을 막음으로써 결국 지역 소멸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걸산동은 ‘육지 속의 외로운 섬’이라 불리며, 마을 전체가 미군기지에 둘러싸여 있어 부대를 통과할 수 있는 통행증 없이는 험한 산길을 한 시간 남짓 달려야 갈 수 있는 지역이다. 특히 야간이나 눈·비가 오는 날에는 통행이 불가능해 주민들이 고립되는 등 마을 통행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심우현 위원장은 “제공 면적이 3%에 불과한 평택에는 특별법에 수조 원의 예산 지원과 다양한 혜택을 주고있는 반면 정부가 2014년 동두천시 주민들을 달래기 위해 약속한 사항들은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70년 동안의 긴 세월을 동두천시가 희생했음에도 정부는 계속해서 안보를 이유로 동두천을 희생양으로 삼으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심 위원장은 10년 전 약속을 이행하고 다음과 같은 주민 숙원 사항을 검토해 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요구사항은 △장기 미반환 공여지 지원 특별법 제정 △평택과 동등한 지원 * 19조 원의 예산 및 대기업 유치 지원 △동두천 국가산업단지 정부 주도 추진 △걸산동 신규 전입 주민 패스 발급이다.
동두천시는 대표적인 주한미군 주둔지로 지난 70년간 미군과 함께 대한민국의 안보를 책임져 왔다. 캠프 케이시 등 미군기지는 아직도 반환되지 않은채 미군들이 계속 주둔지 및 훈련장으로 활용하고 있다.포병 등 상당수의 미군들이 평택으로 이전하지 않고 잔류하고 있는 것이다.
동두천시는 시 전체 면적의 42%에 달하는 노른자 땅을 미군 공여지로 제공함으로써 연평균 3243억 원의 피해를 입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