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2016 베이징 모터쇼' 참가
글로벌 톱 수준의 안전성 구현한 배터리 풀 라인업 전시
셀부터 팩까지 원스톱 생산체제 통해 토탈 솔루션 제공
삼성SDI(대표 조남성)는 25일부터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베이징모터쇼 ‘오토차이나 2016(Auto China 2016)’에 참가해 중국 전기차 시장을 겨냥한 다양한 배터리 제품들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지난 2014년 베이징과 지난해 상하이에 이어 중국에서 열리는 모터쇼에 세 번째로 참석하는 삼성SDI는 세계 톱 수준의 안전성 기술을 구현한 제품들과 급속충전 셀, 표준형 모듈, 원통형 셀 등 셀에서부터 모듈과 팩까지 다양한 전기차용 배터리들을 전시했다.
삼성SDI가 이번에 전시한 제품들은 과충전 방지 장치와 외부와의 전기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 구조, 그리고 과열 방지 온도 제어 기술 등 세계 톱 수준의 안전성 기술이 적용됐다.
특히, 삼성SDI의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라인은 세계 최고 수준의 삼성전자 반도체 제조관리 기술을 벤치마킹한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제조품질 관리시스템)에 의해 운영된다.
삼성SDI는 이 MES 시스템을 활용해 모든 제품의 생산 및 품질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소형 IT용 배터리의 ‘리콜 제로(Zero)’ 신화를 전기차용 배터리 부분에서도 이어가고 있다.
삼성SDI가 이번에 전시한 급속충전 배터리 셀은 30분 내에 80% 이상 급속충전을 반복해도 성능 저하가 없는 업계 최고 수준의 고출력 장수명 제품이다.
이는 짧은 점심시간을 활용해 급속 충전 후 오후에 운행하고자 하는 상용차 회사들을 위한 것으로 오전 오후 두 번 연속운행이 가능해 상용 전기차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이다.
삼성SDI는 이번 전시회에서 37Ah·50Ah·94Ah·120Ah 등 다양한 종류의 셀과 모듈을 전시했다. 50Ah은 37Ah에 비해 35%, 120Ah은 94Ah에 비해 28% 각각 용량이 개선된 셀로 특히 37Ah와 50Ah, 94Ah와 120Ah 셀은 각각 동일한 표준형 모듈을 적용했다. 모듈이 표준화되면 자동차 디자인의 표준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모듈은 보통 12개 셀을 한 줄로 묶는데 이미 개발된 모듈 디자인에 고밀도 50Ah과 120Ah 셀을 적용하면 주행거리가 늘어난 전기차 개발을 할 수 있고 개발 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동차 회사의 관심이 높다.
삼성SDI는 또 각형 배터리뿐만 아니라 원통형 배터리도 전시했다. 원통형 배터리는 소형 IT용 분야에서 세계 1위인 삼성SDI가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제품이다. 최근 중국 전기차업체들이 원통형 배터리 채용을 늘리고 있는 추세다.
이와 함께 ‘18650 셀’(지름 18mm·높이 65mm), 18650보다 에너지 용량을 최대 35%까지 늘린 ‘21700 셀’(지름 21mm·높이 70mm) 등 차별화 된 제품을 출시해 한발 앞선 기술력을 선보였다.
조남성 삼성SDI 사장은 “중국은 세계 최대의 전기자동차 시장의 허브"라면서 "삼성SDI는 다양한 고객 맞춤형 제품과 현지 원스톱 생산체제 구축을 통해 중국 전기차 시장의 발전에 일익을 맡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