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낙하산’ 박창민 대우건설 사장…꺼지지 않는 사퇴설
노조 “박창민 사장 즉각 사퇴·매각 절차 중단” 촉구
최순실 국정농단 낙하산 인사들이 줄줄이 사퇴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계의 대표적인 최순실 낙하산 인사로 지목된 박창민 대우건설 사장에 대한 사퇴설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노총 건설기업노조는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KDB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대우건설 지부 조합원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낙하산 의혹을 받는 박창민 사장에 즉각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또 대우건설에 대한 산업은행의 매각 절차 중단을 촉구했다.
노조는 “검찰 수사과정에서 최순실과 산업은행, 박창민 사장의 연결고리 의혹이 나오고 있다”며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정상적인 매각 절차를 저해하고 있는 박창민 사장의 사퇴를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순실 인사농단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대우건설 매각은 산업은행이 이러한 의혹을 덮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꼼수”라며 “최순실의 이권을 챙겨주는 역할을 하는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박창민 사장 취임 이후 대우건설은 회계감사 의견 거절 사태와 빅베스 등을 겪은 데다 해외 플랜트 공사 수주는 사실상 ‘제로’에 가까워 수주절벽이 이어지고 있다고 노조 측은 주장했다. 이로 인해 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노조는 산업은행이 즉각 대우건설 매각을 중단하고, 박창민 사장의 최순실 인사농단 의혹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결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박영수 특검팀 수사 결과, 이상화 전 KEB 본부장의 휴대전화에서 지난해 7월 1일 최순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가 발견됐다. 확인 결과 이 본부장은 ‘소통이 원활하다’는 이유로 박 사장을 대우건설 사장에 추천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자가 오간 시점은 사장 후보 재공모 발표를 한 바로 다음 날로 사장 후보로 누가 등록할지도 모르는 시점이었다.
이후 지난해 8월 23일 박 사장이 대우건설 사장에 올랐다. 현대산업개발 출신인 박 사장은 대우건설 역대 첫 외부출신 최고경영자다.
당시에도 업계에서는 선임 과정에 대한 뒷말이 무성했으며, 주택사업이 주력인 현대산업개발 출신인 만큼 해외경험이 전무해 대우건설 수장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지적마저 계속돼 왔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대우건설 노조가 박창민 사장의 선임관련 의혹을 꾸준히 제기해 왔지만 자진사퇴가 아니고서는 강제해임은 불가능할 것”이라며 “만약 사장이 교체될 경우 1년 만에 사장이 바뀌는 상황이라 혼선을 빚을 테고 매각 작업도 당연히 연기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한편,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대우건설 매각을 위해 최근 매각 주간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제출한 상태다. 매각주간사 선정을 마친 후 빠르면 9월 매각공고를 낼 계획이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