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기준금리 인상 신호 다시 꺼지나


입력 2017.08.29 06:00 수정 2017.08.29 06:37        이미경 기자

31일 금통위서 금리인상 소수의견 여부 주목

금리동결 만장일치의 경우 연내 금리인상 희박

이번 금통위에서는 금리 동결 여부보다 최근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한은 내부적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소수의견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주목되고 있다. ⓒ데일리안

통화정책 방향 전환을 예고했던 한국은행이 오는 31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상과 관련해 어떤 신호를 켜게 될 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최근 한달새 경기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따른 가계부채 압박, 북한 리스크 고조 등으로 급변하고 있는 만큼 금리인상 동력이 약해질 수 있어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31일 열리는 금통위에서는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견해다.

이번 금통위에서는 금리 동결 여부보다 최근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한은 내부적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소수의견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주목된다.

금통위에서는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동결이 13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에 대한 소수의견이 나오면 한은의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하지만 최근 대내외 리스크가 부각된 가운데 경기가 주춤하면서 이번 금통위에서는 금리인상 신호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도 연내는 금리인상이 어렵고 빠르면 내년 상반기쯤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주요 투자은행 모두 연내 금리인상은 어렵다고 전망했고, 9곳 중 7곳은 내년 상반기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1.50%로 0.25%포인트 오를 걸로 예상했다.

이처럼 시장의 분위기가 급격하게 전환된 배경에는 한동안 회복세를 보이던 경기지표가 주춤하는 모양새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금리를 올리려면 뚜렷한 경기회복이 관건이지만 여전히 강한 경기회복 신호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현안 보고에서도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라 수출과 설비 투자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면서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는 여전히 잠재돼있는 북한 리스크와 미국과 중국과의 교역여건 악화 가능성이 여전히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주택경기와 건설투자가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주춤할 기미가 보이면서 연내 경제성장률 추가 상향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국내의 가계부채 확장세가 이어지면서 주택시장 안정을 추구하는 정부 영향으로 한은의 통화정책 셈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며 "이번주에 발표되는 두자리대 수출증가율과 2%를 넘어선 소비자물가는 향후 한은의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한 시장 논쟁을 유발할 수 있는 변수"라고 진단했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