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수력발전소 보조댐 일부가 붕괴된 사고 피해 규모에 대해 라오스 정부가 피해를 과장한 가짜 뉴스가 떠돌고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29일 국영 매체인 ‘비엔티안 타임스’에 따르면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는 라오스 남부 아타프 주에서 발생한 수해에 대해 오해하지 않도록 언론보도 내용 등에 유의하라고 경고하며, 현지 주요 언론 매체의 뉴스를 보라고 권했다.
사회주의 국가인 라오스에서 공식 매체는 모두 정부 소유다.
또한 라오스 재해비상대책위원회는 가짜 뉴스를 생산하거나 퍼 나르는 것은 라오스의 형법, 컴퓨터 범죄 예방법, 언론법, 총리령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라오스 정부의 태도는 최근 영국 BBC방송이 현지 주민의 말을 인용해 “사망자가 300명은 될 것”이라고 보도하는 등 당국이 발표한 것보다 피해가 훨씬 더 큰 게 아니냐는 의혹이 계속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라오스통신(KPL)은 지난 26일 사망자 27명, 실종자 131명, 이재민 306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한 후 인명피해 정보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라오스 타임스는 다음날 KPL을 출처로 밝히며 공식 사망자가 4명이라고 전했다.
이후 내외신이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한 사망자도 5~8명으로 감소해 피해규모 축소의혹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고로 인해 수력발전소를 지어 인근 국가에 전기를 수출하는 이른바 ‘동남아 배터리’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한 라오스 정부가 피해 규모를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