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본인 과거 당대표 업적 거론하며 이해찬 "대과 이뤘다" 평가
김근식 "대과는 국어사전에 '큰 허물'이라는 의미…'대과업'이 맞다
큰 성과(大課業)인지, 큰 잘못(大過)인지 역사와 국민이 평가할 것"
추미애 법무장관이 임기를 마치고 물러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를 향해 "안정적으로 당을 이끌어 총선승리와 임기 중반의 국정 토대를 굳혀 놓는 '대과(大過)'를 이룩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김근식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미래통합당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는 "'대과(大過)'란 '큰 허물'이라는 뜻이라며 추 장관의 잘못된 단어 사용을 지적했다.
김근식 교수는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추 장관의 이해찬 전 대표 평가에서 '큰 성과'가 아닌 '큰 잘못'으로 오해살 만한 표현이 있는 것 같다"며 "사용한 문맥상 국어사전의 '대과'라는 뜻에 안 맞는다. 흔히 쓰는 '대과(大過)' 뜻은 '큰 허물' 이라는 의미로, 예컨대 '대과 없이 임기를 마쳤다' 같은 경우"라고 언급했다.
앞서 추 장관이 전날 "2년 전 저는 당대표 2년 임기를 마쳤고, 박수를 받으며 떠나는 첫 번째 당대표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과'라는 표현을 서 이 전 대표를 칭찬한 점을 꼬집은 것이다.
김 교수는 "추 장관이 쓰신 맥락은 잘했다는 의미의 큰 결실인 거 같은데 그러려면 '대과업(大課業)'을 이루었다로 하는 게 맞을 것 같다"며 "추 장관이 본인의 당대표 업적에 이어 이 전 대표의 임기 업적을 칭찬하는 과정에서 '큰 성과'를 이뤘다는 표현이 자칫 '큰 잘못'을 이뤘다는 전혀 다른 의미로 오독될까 걱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이 전 대표가 임기를 다 마친 점은 정당정치에서 의미있는 일이지만 지난 2년 동안 정부여당으로서 오만과 무능과 무책임의 비난을 받은 것도 사실"이라며 "큰 성과(大課業)인지, 큰 잘못(大過)인지 앞으로 역사와 국민이 평가할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