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향한 압박 거세지자 적극 나선 듯
"文 입장서 부담…靑 여야 합의 처리 원해"
언론중재법 개정안과 관련해 뒤늦게 중재에 나선 청와대가 31일 여야의 언론중재법 개정안 재협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여야의 대치 상황에 대해 전날 우려를 표명한 만큼, 이제 '국회의 시간'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복수의 청와대 관계자는 "여야의 협상을 지켜보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앞서 청와대는 전날 이철희 정무수석을 통해 더불어민주당에 언론중재법 강행 처리에 대한 우려의 뜻을 전했다. 이 수석은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를 만난 뒤 기자들과 만나 '언론중재법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을 전달했느냐'는 질문에 "드릴 말씀이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법안 즉각 처리 방침을 고수하던 민주당이 이 수석 방문 이후 한발 물러난 대안을 제시하면서, 청와대가 중재에 나섰다고 해석됐다. 민주당은 전날 마지막 협상에서 '이르면 추석 전 처리'를 전제로 언론시민단체 등 이해집단이 참여하는 '언론민정협의체' 구성 등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의 시간'이라며 침묵을 유지해 왔던 청와대가 이처럼 적극 중재에 나선 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압박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야권은 물론 주요 언론 단체들도 법안이 강행 처리될 경우 문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문 대통령의 '복심'으로 알려진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 아침'에 출연해 "청와대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면 국민 모두가 국난극복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에서 가급적이면 여야가 합의 처리하는 모습을 원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8월 국회에서 본회의 처리가 되지 않더라도 이미 관련 상임위와 법사위를 통과한 법안으로 언제든지 본회의 상정이 가능한 조건"이라고 했다.
이상민 민주당 의원도 같은 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문 대통령 입장에서는 부담스럽다"며 "만약 예산국회가 파행되면 여당이 다수 의석이니까 (예산안을) 통과시킬 수 있겠지만, 다음 정부에 파열음을 이어받게 하는 요인도 될 수 있기 때문에 문재인 정부로서는 이번에 잘 마무리를 하고 싶은 생각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청와대의 적극 중재에도 당 내에는 강경 기류가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임기 말 국정 운영의 무게 추가 여당으로 많이 기운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김승원 민주당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더 뭘 양보해야 하나. 모든 직을 걸고 꼭 제대로 더 세게 통과시키겠다"고 했다. 김영배 민주당 의원도 지난 2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청와대가 이래라 저래라 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