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동시 가입 30주년…평화 메시지 발신 기대"
청와대가 1일 문재인 대통령의 제76차 유엔총회 참석 여부에 대해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유엔총회는 오는 21일 미국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여러 가지 상황이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유엔 총회는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30주년을 맞이하는 굉장히 큰 의미가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가급적 그런 국제 외교 무대에서 남북한이 한반도의 평화와 관련한 그런 메시지를 동시에 발신할 수 있으면 참 좋겠다라는 생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모든 제반 상황을 고려하여 유엔총회 참석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매년 유엔총회에 참석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상황으로 화상회의 형태로 참석해 기조 연설을 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이제 한반도에서 전쟁은 완전히, 그리고 영구적으로 종식돼야 한다"며 종전선언을 제안한 바 있다.
올해 유엔총회는 대면·비대면 혼용 방식으로 각국 정상들을 분리 초청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9·19 평양공동선언 3주년 계기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메시지 발신 가능성에 대해 "정부는 늘 북한과의 대화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염두에 두고 준비하고 있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남북대화 단절 상황 해결을 위해 청와대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남북이 협의해서 징검다리를 하나씩 놓아가게 될 것이고 그 과정에는 징검다리 뿐만 아니라 암초도 충분히 있을 수 있다"며 "남북미가 머리를 맞대고 암초를 제거하면서 징검다리를 건너 강 너머에 있는 한반도 평화에 어떻게 도달할지 조심스럽게 바라보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이제 겨우 징검다리 하나를 놓은 상태이고, 제기됐던 암초 하나를 남북이 상황을 잘 관리하면서 지나가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을 조심스럽게 하면서 향후에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진지하고 열려 있는 조심스러운 자세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