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환경부, ESG 진단 협의체 통해 사업장 환경관리 개선


입력 2022.08.25 12:01 수정 2022.08.25 09:18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정책융자 지원 등 논의

환경부 전경. ⓒ환경부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6일 오후 서울역 회의실에서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진단 협의체’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ESG 진단 지원사업을 통해 사업장 환경관리가 개선되도록 한국환경공단, 화학물질관리협회, 녹색환경지원센터와 지원체계 확대·개편을 논의한다.


현재 한국환경공단 등 환경 분야 전문기관은 대기, 화학물질 등 개별 환경법별로 분산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날림먼지 배출 검사 및 악취 기술지원을 비롯해 온실가스, 대기, 악취, 수질, 토양 등 다양한 환경 분야에서 검사와 기술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화학물질관리협회는 화학사고 예방관리계획서 작성지원 등 화학물질관리 및 등록평가 분야에서 이행을 지원한다.


녹색환경지원센터는 시도 내 대학·연구기관·기업소속 민간전문가와 협력해 해당 지역 내 영세 업체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자문을 한다.


ESG 진단 지원사업은 개별 환경 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전반적인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관리실태 등의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앞으로 한국환경공단 등 전문기관과 주기적인 회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진단 결과물이 개별 환경 분야 법정검사나 기술지원 시 업체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도록 추진한다.


진단 과정에서 전문기관이 함께해 구체적인 환경관리 개선방안을 제시, 개별 환경 분야의 법정검사나 기술지원을 연계할 계획이다.


진단 결과에 기반한 신청에 대해서는 정책융자, 스마트 생태공장 지원 때 가점을 부여해 시설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로 이어지도록 후속 사업과 연계를 강화한다.


올해 7월부터 이번 진단 지원사업 하나로 도금업종을 대상으로 업종 맞춤형 환경안전관리시스템 시범 구축을 추진 중이다. 환경부는 2023년 정보화전략계획(ISP)을 거쳐 다른 업종까지 확대를 추진한다.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이 국내외 정책 동향에 대응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정욱 기자 (cju@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