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정자 활동을 2~3시간동안 멈추게하는 남성 피임약이 개발됐다.
14일(현지시간)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요헨 벅 미국 웨일코넬의과대 약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약물을 통해 필요할 때만 정자 활동을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을 통해 정자가 몇 시간 동안 기절 상태를 유지해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여성 피임약과 달리 호르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게 신약의 최대 장점이다. 약을 복용해도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결핍 부작용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자 운동을 조절하는 스위치는 수용성 '아네딜릴 사이클레이즈(Adenylyl cyclase)'로 불릴는 세포 신호 전달 단백질인데, 세포 에너지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약물로 이를 억제·차단해 정자 움직임을 막는 원리다.
연구진이 개발한 TDI-11861라 불리는 약을 쥐에 투약해 짝짓기 전, 짝짓기 중, 짝짓기 후 정자 움직임을 확인했다. 약효는 약 3시간 동안 지속됐다. 복용 24시간 후엔 효과가 거의 사라졌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뉴욕 웨일코넬 의학대의 멜라니 발바흐 박사는 "쉽게 원래대로 돌아갈 수 있다는 사실이 피임약으로서 일상에서 사용하기 쉽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남성들도 출산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다수 전문가들은 "약물이 성병까지 예방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콘돔 착용을 권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