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6호 태풍 '카눈'이 일본 규슈를 지나 목요일인 10일 부산·경남 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보인다.
6일 기상청에 따르면 일본 오키나와를 휩쓴 '카눈'이 7일 방향을 급격히 틀어 북진하기 시작하겠다.
이후 규슈 지방을 관통한 뒤 9일 동해로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10일에는 부산 인근 경남 해안에 상륙해 동해안에 많은 비를 뿌린 후 북한 원산 부근까지 북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비즈니스석 벌써 동나고 없다"… 여행 트렌드가 바뀌었다
대한항공·아시아나, 8~9월 주요 도시 비즈니스석 '마감'"마일리지 좌석은 옛날에 마감 됐다"… 10월까진 꽉 들어차코로나 기저효과 지속, "쓸 때 쓰자" 영끌족 늘어
SKT, 부산세계장애인대회서 '배리어프리 AI' 선보인다
시각장애인·발달장애인 대상 AI 기술 벡스코에 전시다양한 분야 활약하는 장애인들 소개도
'연봉 3억' 금감원 부원장 임기 꽉꽉 채운 후 '노인 폄하' 논란…김은경 혁신위원장 [뉴스속인물]
'천안함 자폭설 논란' 자진사퇴 이래경 후임 임명되자마자…온갖 설화(舌禍)에 휩싸여돈봉투 음모론 제기에 초선 의원들 비난…'여명 비례투표제' 발언으로 '노인 폄하' 논란 야기, 사과"尹 밑에서 임기 마쳐 치욕" 발언도 논란…원장 바뀔 때 일괄사표 관례 깨고 이례적으로 3년 임기 채워윤석열 정부 들어서고 이복현 원장 취임 때 "임기 남았다" 사표 거부…이복현 원장 향해 "우리 원장님"
"물어뜯긴 주호민만 억울…아내가 사과하라" 전문가 일침
"온통 주호민 개인에게만 이리 떼처럼 달려들어 물어뜯고 있다"웹툰작가 주호민이 자신의 자폐성향 아들의 특수교사를 아동학대 혐의로 고발해 논란이 된 사건과 관련해 30년 넘게 특수교육에 종사해온 한 전문가가 해당 사건이 커진 건 주호민의 아내 탓이라며 공개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나사렛대 특수교육과 류재연 교수는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건 녹취록을 전부 검토한 결과 피해 교사와 주 씨의 주장 모두를 고려했던 입장을 철회한다"며 "주 씨가 어떻게 살짝살짝 거짓말을 섞어서 자신을 방어하고, 피해 교사를 은밀하고 고상한 표현으로 공격했…
"롤스로이스 마약양성男, 갱생방송 출연한 학폭가해자"
서울 강남구 압구정역 인근에서 케타민 양성인 상태로 롤스로이스 자동차를 몰고 인도로 돌진한 20대 남성 운전자 신모(28)씨가 과거 한 방송에 출연한 학교폭력 가해자였던 사실이 알려졌다.신 씨는 지난 2일 오후 8시 10분쯤 서울 강남구 압구정역 인근에서 롤스로이스 SUV 차량을 운전을 하던 중 인도로 돌진해 길을 걷던 20대 여성을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피해자는 양다리가 골절되고 머리와 복부를 다치는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져 수술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신 씨는 현행범으로 체포됐다. 당시 신 씨는 음주운전이 아니었다. 마약 …
[단독] 김문수, 9일 대선 첫 행보로 국민의힘 지도부 예방 계획
전직 야구선수 오재원, '필로폰 수수 혐의' 2심 징역형 집유
반전 일어난다던 천공, 尹 파면되자 "진짜 대통령은…"
밤 9시 ‘이것’ 뱃속에서 발견된 여성…"고통스럽게 돌아가셔서 참담"
전한길 "헌재 가루 되도록 할 것"
“한 놈만 걸려라” 명재완, 범행 전 남편에게 한 말 ‘소름’
실시간 랭킹 더보기
생활/문화 많이 본 기사 더보기
정명섭의 실패한 쿠데타
어비류와 좌가려의 난 – 고국천왕의 시범 케이스
조남대의 은퇴일기
향기가 머무는 곳
서지용의 금융 톡톡
사모펀드 MBK 등의 폐해와 규제강화의 필요성
111일 만에 '파면' 결론난 尹탄핵심판…이재명 재판은 여전히 '지지부진' [기자수첩-사회]
탄핵과 대선 사이…부동산 정책 공백 없어야 [기자수첩-부동산]
지방 미분양 ‘시한폭탄’이 다가온다 [기자수첩-부동산]
식약처, GC녹십자 유전자재조합 탄저백신 '베리트락스' 허가
국내에서 개발한 탄저백신이 시판 허가를 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8일 녹십자가 신청한 유전자재조합 탄저백신 ‘베리트락스주’를 허가했다고 밝혔다.베리트락스주는 탄저균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는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 탄저균의 외독소 구성성분 중 방어항원 단백질을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제조한 것이다. 베리트락스주는 성인에서 탄저균으로 인한 감염증의 노출 전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식약처는 전담심사팀을 구성해 해당 품목의 안전성과 효과성 및 품질에 대해 집중 심사했다. 또한 감염내과 전문의 등으로 구성된 외부 전문가 자문과 중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