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호 전투, 국민 10만명을
자유민주주의 품에 안기게 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전투"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각종 기념행사가 이어지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 최초로 장진호 전투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대통령실은 12일 윤 대통령이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서 열린 제73주년 장진호 전투 기념행사에 참석했다고 전했다.
장진호 전투는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11월 27일부터 12월 11일까지 이어진 혈투를 뜻한다. 함경남도 장진호 일대에서 벌어진 해당 전투에서 미 제1해병사단 1만5000명은 영하 30도의 혹한 속에서 중공군 7개 사단 12만명의 포위망을 뚫고 함경남도 함흥(흥남)으로 철수했다. 전투 과정에서 미 육군 7사단 2개 대대, 영국 해병 제41코만도부대, 미군에 배속된 국군 카투사 장병 및 경찰 화랑부대원 등도 참여했다.
수적 열세를 감내한 이들의 사투 덕에 10만명이 넘는 피난민이 '흥남 철수 작전'을 통해 무사히 남쪽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한미 혈맹을 상징하는 장진호 전투 기념행사는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회장 김정규)가 당시 큰 희생을 치른 미 해병 제1사단과 유엔군 장병을 추모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진행해 왔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장진호 전투는 영하 40도가 넘는 추위와 험난한 지형, 겹겹이 쌓인 적의 포위망을 돌파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전투"라며 "장진호 전투를 통해 흥남지역 민간인 10만 명이 자유의 품에 안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흥남철수 작전에 참전한 김응선(102세)옹 △미군 제506군사 정보대대에서 1953년 6월부터 1955년 1월까지 복무한 켄림 힌쇼 모이(Kenlim Hinshaw Moy, 92세) 유엔군 참전용사를 모시고 기념식장에 동반 입장하며 예우를 표하기도 했다.
이번 기념식과 관련해 △정부 측에선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신원식 국방부 장관 등이 △군에서는 박정환 육군 참모총장, 이종호 해군 참모총장, 정상화 공군 참모총장, 안병석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등이 △대통령실에서는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 측 인사들로는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를 비롯해 윌리엄 소자 3세(William E. Souza Ⅲ) 주한미해병대 사령관 등이 참여했다.
그 밖에도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회원, 한미 군 장병 등 2800여 명이 자리를 빛내며 장진호 전투 의의를 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