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세 정책·우회수출 규제 우려 영향
韓, 공급망 재편·산업고도화 등 변화 속 기회 활용 필요
미국 신정부 출범을 앞두고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일본 등 아시아 주요 6개국의 움직임이 분주한것으로 학인됐다.
트럼프가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고관세 정책, 중국 우회수출 규제에 대해 우려가 있는 가운데, 'China+' 생산·투자 거점으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15일 '미국 신정부 출범 계기 아시아 주요국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의 주요 교역국인 아시아 6개국의 산업 현황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다르면 아시아 6개국은 미국 신정부의 보편관세 부과 여부에 가장 예의주시하고 있다. 각국의 대(對)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음에 따라 경제적 영향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이 제3국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하는 이른바 '우회수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중국 기업들의 투자가 늘어난 동남아와 인도는 이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다만 각국은 이러한 도전 속에서도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협력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선 베트남은 엔비디아(NVIDIA)와의 인공지능(AI) 연구개발 센터 설립, 스페이스엑스 (SpaceX)와의 위성통신 개발 협력 등 첨단 산업 분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어, 기술 협력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공급망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현지 부품 사용 기업에 대한 관세 혜택 확대로 현지 진출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청정에너지 분야 외국인 투자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국은 디지털 경제의 지역 허브를 목표로 클라우드, AI 등 첨단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어, 디지털 전환 관련 시장이 확대될 전망이다.
인도는 보편관세 부과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신정부의 출범을 기회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뒤를 이어 글로벌 제조업의 새로운 허브 역할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내비치는 모습이다.
일본은 자동차 산업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는 가운데 조기 정상회담 추진과 외교적 해법 모색을 도모하고 있다. 동시에 도요타 등 주요 기업들은 모니터링 강화와 신중한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지형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인한 아시아 시장의 변화는 우리 기업에게 새로운 진출 전략을 요구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현지 기술 협력 강화와 가치사슬 참여 확대, 신성장 분야 선제적 진출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KOTRA가 시장 정보 제공부터 현지 네트워크 구축까지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