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평균 연 4.24%로 4개월 만에↓
가계대출 총량 10개월 만에 감소로 여력↑
당국 공개 압박에 가산금리 인하 힘 실려
은행권 대출금리가 하락세에 들어섰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시장금리가 내리면서 은행권이 지난해 말 올렸던 가산금리도 다시 떨어지고 있어서다. 치솟았던 은행권 가계대출 총량도 줄어들고 있는 만큼 은행권이 금리 인하 경쟁에 돌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4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국내은행 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4.24%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부터 꾸준히 올랐던 대출금리는 지난 11월 4.27%를 기록한 후 지난달 4개월 만에 하락으로 돌아섰다.
전세대출 금리 역시 하락 전환했다. 같은 날 국내은행의 평균 전세대출 금리는 4.26%로 지난해 9월 4.08%에서 10월 4.29%, 11월 4.37%로 올랐다가 12월 4.26%로 내려왔다.
이러한 대출금리 하락은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과 11월 기준금리를 인하함에 따라 은행의 지표 금리가 되는 시장 금리 역시 떨어진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은행권 평균 지표금리는 주담대 기준으로 지난해 12월 3.06%로 전월 대비 0.19%포인트(p) 떨어졌고 가산금리는 2.46%로 0.01%p 낮아졌다. 대출금리는 기준이 되는 지표금리에 은행 업무 비용과 예상 손실, 자금 조달 금리 등을 반영한 가산금리를 더한 후 우대금리를 빼 계산한다.
은행들은 올렸던 가산금리도 최근 들어 조금씩 낮추고 있다. 새해 가계총량이 리셋된 후 각 은행별 대출 영업 여력이 커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은행권은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강화를 주문함에 따라 가산금리를 인상하는 방식으로 가계대출 금리를 높여온 것과 대조적이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14일 가계대출 가산금리를 최대 0.3%p 낮췄고 우리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주요 가계대출 상품 가산금리를 최대 0.29%p 내리기로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일각에서는 은행권에서 금리 인하 경쟁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 기조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만큼, 은행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금리가 더 낮아지기 전 대출 영업을 늘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가계대출 총량이 줄어들었단 점도 은행의 대출 관리 부담을 덜어주는 요인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2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2조3656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조7694억원 감소했다.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 규모가 전월보다 줄어든 건 지난해 3월 이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주담대는 전월보다 1조6592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이 3조54억원 줄었다. 연말·연초 상여금 지급에 맞춰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상환을 늘린 영향이다. 여기에 주담대가 1조원대로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가계 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직접적으로 가산금리 인하에 힘을 실으면서 공개 압박에 나선 점도 은행의 금리 경쟁에 불을 붙일 것으로 보인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은행들이 기준금리가 떨어진 부분을 반영해야 할 시기”라며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은행 대출금리 인하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는 실적 관리를 위해 가계 대출이 계속 감소하지 않도록 관리에 나설 것”이라며 “지난해 가산금리를 많이 끌어올린 만큼 이를 조정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수준에 있는 시기에 은행이 수익을 남기려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