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연출
영화 '로비'는 기술력으로 승부하려던 스타트업 대표 창욱(하정우 분)이 4조 원의 국책사업을 따내기 위해 로비 전선에 뛰어들며 벌어지는 코디미물이다. '로비의 세계'에 첫 발을 들인 주인공의 좌충우돌을 그린다지만, 이야기의 방향이 점점 산만하게 흘러간다.
영화의 시작은 정정당당하게 사업에 임하고 싶었던 창욱이 라이벌 광우(박병은 분)에게 밀릴 처지가 되자 김실장(곽선영 분)에 내놓은 마지막 수인 골프 로비를 결심한다.
창욱이 로비하려는 대상은 국토부 조 장관(강말금 분)의 전 남편이자 실세로 통하는 김 실장(김의성 분)이다. 그는 기술에도 밝고, 접대에도 까다로운 인물이다. 김 실장이 프로 골프 선수 진세빈(강해림 분)의 팬이라는 정보를 입수한 창욱은, 진세빈에게 스폰서를 제안하고 이를 계기로 김 실장과 함께 라운딩 자리를 마련한다.
한편 같은 날 광우는 역시 국토부 조 장관과 라운딩을 한다. 광우는 조 장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인기 배우 마태수(최시원 분)를 섭외했다. 조 장관에게 그린벨트 사업으로 엮여있는 골프장 대표(박해수 분)는 자신의 아내 다미(차주영 분)를 라운딩에 투입시킨다. 과연 창욱은 4조 원의 사업을 따낼 수 있을까.
하정우의 세 번째 연출작 '로비'는 그의 고유한 유머 스타일, 특히 말장난과 '티키타카' 대사의 연속으로 러닝타임을 채운다.
초반 설정은 나쁘지 않다. 창욱의 순진한 욕망과 시스템의 부조리를 마주하는 과정에서 블랙코미디적 상황들이 펼쳐지지만 극은 인물들의 의도된 우스꽝스러움 속에서 자주 중심을 잃는다. 대사로 순간을 튕겨내는 일명 '드립'은 여전히 살아있으나 맥락이 빈약하니 이어지는 풍자가 통쾌하지 못하다.
유머의 폐쇄성도 문제다. 로비 골프판을 둘러싼 주요 에피소드들은 골프 룰과 은어가 자주 사용된다. 골프를 모르는 창욱(하정우 분)이 공부를 하면서 주변인들의 대사로 설명하지만, 대사는 빠르게 흐르듯 지나가고, 귀에 꽂히지 않는다. 물론 골프를 몰라도 보는데 크게 무리는 없지만, 모른다면 유머의 장벽이 있다.
골프 로비로 현실을 풍자하려다 특정 커뮤니티의 내부 농담처럼 흘러가 버리는, 결과적으로 일부 관객들은 소외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성인지 감수성의 부재다. 골프 내기판에 끌려 나오는 진세빈은 스토리 상 내기판의 들러리이자 중년 남성 캐릭터들의 욕망에 농담처럼 노출되는 대상이 되고 만다. 진세림이 왜 내기 골프판에 나와야 했는지, 창욱과의 관계가 왜 결말에서 감정적으로 해피엔딩으로 정리되는지도 설득력이 부족하다.
하정우의 첫 연출작 '롤러코스터'가 등장했을 당시, 비행기 안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캐릭터들이 충돌하며 발생하는 해프닝과 밀도 높은 코미디 대사에 감탄을 했었다. 하지만 '로비'는 '롤러코스터'가 얼마나 수작이었는지 다시 느끼게 할 뿐이다. '롤러코스터'의 기운은 있지만 그 안에 있었던 집중력, 그리고 예측불가능해 신박했던 코미디가 보이지 않는다. 2일 개봉. 러닝타임 10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