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대반격을 개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추가 104%의 고율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즉각 '전방위 보복조치'에 나선 것이다. 미국이 중국을 ‘관세폭탄’으로 공격하면 중국이 즉각 응수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짙은 먹구름이 끼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오는 10일 낮 12시 1분(현지시간)을 기점으로 부과하는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34%에서 84%로 인상한다”고 9일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이와 함께 미국 기업들에 대한 각종 규제도 잇따라 내놨다. 중국 상무부는 쉴드 AI와 시에라 네바다 등 미국 군수기업 6개를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 추가로 올리는 한편 아메리칸 포토닉스(렌즈 제조), 노보텍(바이오), 에코다인(드론) 등 미국 12개 기업에 대해 이중용도(민간용이나 군수용으로 사용 가능) 물자 수출을 통제키로 했다. 미국의 50% 추가 관세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했다.
미국은 9일 낮 상호관세 등에 대한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에 대응해 트럼프 2기 출범 후 누적 104%의 관세를 중국에 추가 부과를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후 중국에 이른바 ‘10% + 10%’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9일부터 34%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중국이 상응하는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발표하자 해당 조치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경고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다. 중국 국무원은 이날 보복조치에 대해 “미국이 즉각 잘못된 조치를 시정하고 중국에 대한 모든 일방적인 관세 조치를 철회하라”면서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평등한 대화를 통해 양국 간의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해 나가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