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근직 14개 기관 중 9개(64%) 기관…LH출신 공피아가 차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출자·출연한 기관의 기관장 등 요직을 공사 출신 낙하산 인사가 대거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강동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전북 남원 순창)이 LH에게 제출받은 '출자·출연 기관 임원 현황'에 따르면, 임직원이 상근하는 14개 기관 가운데 9개(64%) 기관의 기관장 및 임원이 LH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70억원을 출자해 LH가 지분 100%를 보유하는 주택관리공단(주)의 현 사장은 LH주거복지이사 출신이며, 1억7000만원(지분 33.5%)을 출자한 알파돔시티자산관리(주) 사장 역시 LH 녹색도시이사 출신이다.
105억원(지분 19.9%)을 출자해 설립한 메타폴리스(주) 사장 역시 LH 주거복지본부장 출신이며, 7000만원(지분 14.0%) 출자의 메가볼시티자산관리(주)의 사장도 LH 주거복지부문장 출신이다.
이밖에 6000만원(지분 19.9%)을 출자한 스마트시티자산관리(주)의 사장은 LH 대전충남지역 본부장 출신, 8000만원(지분 16.7%)의 ㈜비채누리 사장은 LH 전북지역본부 본부장 출신 등 현직 기관장을 LH 출신 인사들이 차지하고 있다.
이외 75억원 출자(지분 63%)의 한누리(주)의 사장과 이사는 LH 소속 임원이 겸임을 하고 있고, 6000만원 출자(지분 19.9%) ㈜엠시에타의 사장은 LH 금융사업처에서 파견을 하고 있다. 80억원(지분 19.9%)의 충주기업도시(주) 이사도 LH 경기본부 출신이다.
모회사 고위인사들이 낙하산 인사행태로 자회사들의 경영진을 독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영성과를 내기 위한 혁신보다는 눈치보기에 급급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강동원 의원은 "공공기관들이 출자·출연 기관들이 퇴직 공피아의 자리보전을 위한 기관으로 전락했다"며 "인사시스템을 개선해 재취업 제한기관으로 설정하는 등 낙하산 인사를 척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LH는 출자· 출연 기관의 임직원 임용은 기관별 정관에 따라 주주총회 및 이사회 결의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쳐 선임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LH 관계자는 "다만, 공공-민간협동형 PF사업의 경우 발주처이자 출자자로써 출자금의 안정적 회수 등을 위해 공사 출신 임원이 출자사간 이해관계 조절의 필요성으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