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지·주꾸미 제치고 롯데마트 1월 매출 1위 등극
'연체류 삼형제(문어·낙지·주꾸미)' 중 문어가 이달 매출 1위에 등극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롯데마트는 2014년 연체류의 품목별 매출을 살펴보니 전년대비 문어가 95.6%, 낙지가 172.4% 신장했고 주꾸미도 38.6%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해 수산물 전체 매출이 8.1% 신장한 반면 연체류 매출은 '민머리 삼형제'의 활약에 힘입어 전년대비 85%나 신장한 것이다.
특히 세 품목 중에서도 문어의 활약이 돋보였다. 롯데마트가 최근 3년간 연체류 삼형제의 순위를 살펴보니 문어가 2012년 꼴찌에서 2013년에는 주꾸미를 바짝 추격하더니 2014년에는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며 결국 1위에 등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어의 인기는 올해도 지속돼 롯데마트의 1월(1~18일) 문어 매출은 전년대비 6배(476.5%) 가까이 신장하며 세 품목 중 1등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낙지(168.2%), 주꾸미(129.3%) 신장률보다 2~3배 이상 큰 폭으로 올 1월 연체류 매출이 전년대비 3배(224%) 이상 신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문어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 주로 명절에만 제수용으로 올리는 경우가 많아 설과 추석이 있는 두 달간 매출이 연중 50% 이상 비중을 차지할 만큼 특정 시즌에만 수요가 집중되는 것을 감안하면 눈에 띄는 성장세다.
이처럼 문어 매출이 크게 신장한 것은 로브스터, 킹크랩 등 고급 수산물이 대중화된데다 타우린 함유로 웰빙식품으로 떠오르면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고객 수요에 맞춰 판매 방식을 바꾼 것이 명절 제수용 수산물로 인식됐던 문어를 대중적인 수산물로 자리잡을 수 있게 했다.
롯데마트는 기존에는 주로 통 마리 단위로 판매해 소인 가족이 즐기기에 양이 많았던 것을 고려해 부위별로 손질해 소량으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개선했다.
또 매장에서 직접 삶은 자숙 문어를 얇게 썰어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선보여 최근에는 20~30대 소비자들의 맥주, 와인 안주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아프리카 모리타니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수입 산지 다변화 노력을 통해 가격 부담을 낮춘 것도 인기 요인이다. 실제 지난해 롯데마트의 문어 판매가를 살펴보면 국산 문어는 100g당 3980원, 모리타니아산 문어는 100g당 2980원으로 25% 가량 저렴한 수준이다.
최승훈 롯데마트 수산MD(상품기획자)는 "명절 제수용 수산물로 인식됐던 문어가 대중적인 수산물로 자리잡으며 연체류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며 "다양한 산지 개발을 통해 더욱 저렴하게 맛볼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