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ELS 파동, 제2 키코 될라...금융당국은 '천하태평'


입력 2016.01.25 12:02 수정 2016.01.25 14:57        이미경 기자

ELS 평가손실 2조원 육박에도 금융위측 만기이후에 손실 축소 주장

ELS의 평가손실이 2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제2의 키코사태로 번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데일리안
국민재테크로 불리는 주가연계증권(ELS)의 평가손실 규모가 우후죽순 늘어나면서 날개 없는 추락을 지속하고 있다.

ELS의 평가손실이 2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의 연쇄 부도 사태를 일으킨 제2의 키코(KIKO) 사태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정작 대안을 찾아 대규모 손실을 미리 막기보다 ELS 논란을 축소시키는데 급급한 모습이다.

2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원금비보장 공모형 ELS 중 원금손실(Knock-In) 구간에 진입한 상품이 발행액은 총 1조5000억원을 훨씬 상회했다.

지금까지 누적된 ELS 평가손실 규모는 2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키코사태로 3조원 규모의 자금손실이 일어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치다.

최근 금융위원회에서는 "홍콩 HSCEI 지수 하락으로 일부 ELS 상품에 녹인(Knock-in)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바로 투자자 손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현재 발행된 HSCEI 기초 발행량의 96.7%가 2년후인 2018년 이후 만기가 도래하므로 그 기간 중 H지수가 회복하는 경우 투자자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금융위측의 해명에도 업계에서는 ELS로 인한 피해가능성을 오히려 축소함으로써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의 목소리를 제기하고 있다.

ELS 만기가 도래하는 2년뒤에 확정 손실여부가 H지수의 주가지수에 달린 만큼 불확실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 증권업계 전문가는 "금리가 현재 66% 에 이르는 홍콩시장에 투기세력이 점령한 지금 상황이 비상상황이 아닌가 싶은데 금융당국에서 이에 대해 너무 과소평가하는것 같다"며 "금융위의 대처방안은 2년 만기후까지 무조건 기다리라는 건데 이는 금융당국으로서 너무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홍콩 HSCEI 지수는 지난해 5월 26일 최고치인 1만4801포인트를 기록한 후 중국 증시불안 등으로 크게 하락해 지난 20일 8015.44포인트까지 내려갔다. 1년도 안돼 반토막 가까이 급락한 것이다.

홍콩 H-CI지수는 홍콩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가지수이다. 중국에 있는 기업의 주가가 빠지면서 이 지수가 급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투기세력이 가세하면서 자금의 썰물현상이 이어졌다. 홍콩지수 급락으로 피해를 입은 한국투자자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주가지수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 홍콩 H-CI지수는 홍콩내에서도 메인시장이 아니기 때문에 홍콩사람 조차도 잘 모르는 시장"이라며 "우리나라 ELS 때문에 유명해진 시장이지만 최근 단기 유동성 문제와 투기세력이 붙으면서 홍콩내에서도 이슈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홍콩H-CI 지수가 지금보다 더 빠질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지금보다 추가적으로 지수가 하락할 경우 ELS 손실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큰 H-CI지수를 기초로 담은 ELS 상품이 손실 리스크는 크지만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후죽순 가입에 나섰고, 증권사들도 투자자의 수요가 몰리면서 관련 ELS를 찍어냈다.

하지만 ELS 손실규모가 커질수록 증권사의 헤지운용 비용 규모도 커질수 밖에 없어 증권사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일각에서는 증권사들이 H-CI지수를 기초로 한 ELS 상품을 쏟아내면서 손실에 대해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나 저소득자, 은퇴한 투자자들의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ELS 사태가 증권사의 불완전판매 이슈로 불거질 우려가 있다며 금융당국이 나서서 적극 대처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ELS의 원금 비보장 상품이 최대 20조원 정도 판매됐고 지수가 7000포인트마저 붕괴되면 10조 가까이 평가손실이 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이번 ELS와 관련된 불완전판매 여부에 대해 금융당국이 적극 나서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시스템 리스크로 전환되지 않도록 증권사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럽의 경우처럼 증권사들이 낸 ELS의 판매성과에 비례해 판매보수를 가져갈수 있도록 투명하게 보수를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경 기자 (esit91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미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