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올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OLED 전환 가속화


입력 2016.03.02 07:00 수정 2016.03.02 08:41        이홍석 기자

지난해 국산 보급형 적용에 이어 올해 중국서 대중화 조짐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 수혜 속 중국과 일본도 양산 채비

삼성전자 남녀모델이 오는 4일부터 이동통신3사를 통해 예약판매하는 '갤럭시S7'을 선보이고 있다.ⓒ삼성전자
올해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가 액정표시장치(LCD)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전환되는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OLED 패널을 양산하고 있는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폐막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MWC) 2016'에서 화웨이·ZTE·레노버 등 중국 스마트폰업체들이 OLED 패널을 채택한 스마트폰을 대거 전시하는 등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에서 OLED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OLED는 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30%대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중국 업체들이 앞다퉈 스마트폰에 OLED를 채택하면서 올해 이 비중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국산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주로 채택돼 온 OLED가 지난해 보급형 제품까지 확대된 가운데 중국에서도 대중화되는 조짐을 보이면서 소형 OLED 패널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여기에 애플도 오는 2018년경 아이폰에 OLED를 채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등 OLED는 이미 대세로 굳어가는 분위기다.

특히 그동안 대중화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가격도 차이가 거의 없어진 점도 긍정적이다. 현재 5인치 디스플레이 기준 LCD와 OLED의 패널 원가 차이는 10% 이내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올해 LCD와 달리 OLED의 경우, 수요가 공급을 웃돌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올해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이면서 현재 패널을 양산하고 있는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들의 OLED 공급능력에도 주목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유비산업리서치는 올해 중국 스마트폰업체들의 OLED 패널 수요량은 1억대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미 전 세계 중소형 OLED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삼성디스플레이와 대형 OLED 패널에 이어 중소형까지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LG디스플레이에게는 시장 확대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업체들의 저가 물량공세가 본격화되면서 LCD 시장이 포화상태로 레드오션이 되면서 점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OLED가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

업계에서는 앞으로 일본과 중국 업체들도 OLED에 앞다퉈 뛰어들겠지만 현재 국내 업체들과의 기술 격차를 감안하면 향후 약 3년 정도는 국내 업체들이 주도권을 잡으며 독과점적 공급구조가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일본 재팬디스플레이(JDI)가 오는 2018년 중소형 OLED 패널 양산을 공식화한 가운데 BOE와 에버디스플레이 등 중국 패널업체들도 양산 채비를 갖추는 등 경쟁에 뛰어들고 있지만 단기간 내 기술 경쟁력을 따라잡기는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디스플레이 업계 한 관계자는 “LCD에 비해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OLED의 경우, 기술력 격차를 줄이는 데는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면서도 “당분간은 국내 업체들이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지만 중국의 막대한 투자와 일본의 근원적 기술경쟁력은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