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퇴직연금 시장 해부]지방은행 발목 잡는 태생적 한계


입력 2017.03.12 07:00 수정 2017.03.12 09:57        배상철 기자

퇴직연금 시장에서 지방은행 비중 3% 불과

지역거점 영업이 한계로 작용했다는 분석

신규진출 어렵지만 점유율 높이기 위해 총력

국내 퇴직연금 시장에서 지방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3%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안

국내 총 퇴직연금 적립금이 150조원에 육박하고 있지만 지방은행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별다른 시장 진입장벽이 없음에도 지방은행들의 지역 거점 영업이 태생적인 한계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퇴직연금을 맡긴 기업들이 기존의 금융기관을 변경하려면 근로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등 까다로운 절차 등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퇴직연금은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퇴직금을 금융사에 맡기고 기업 또는 근로자의 지시에 따라 운용한 후, 퇴직 시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지급하는 제도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총 퇴직연금 시장에서 지방은행이 차지하는 비율은 2.7%로 집계됐다.

국내 퇴직연금 시장에서 가장 높은 비율은 차지한 곳은 삼성생명으로 14.1%를 기록했다. 이어 신한은행(9.6%), 국민은행(8.6%), 우리은행(7.2%), 기업은행(7.1%) 등 시중은행이 상위권에 포진하고 있다.

반면 지방은행은 하위권을 맴돌았다. 부산은행이 가장 높은 0.9%였고 대구은행(0.7%), 경남은행(0.6%), 광주은행(0.4%), 제주은행(0.1%) 순으로 나타났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퇴직연금 시장에서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데 대부분 수도권에 있어 지방은행들은 시중은행에 비해 영업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지역에는 중소기업이 대다수고 퇴직연금 가입이 의무도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점유율 낮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퇴직연금 제도가 2005년 12월말에 시작됐지만 후발주자로 시장에 들어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제주은행 관계자는 “제주은행은 2010년도에 퇴직연금 시장에 진출했다”며 “기업들이 한번 정한 금융기관을 변경하는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초기 구도가 굳어져 신규사업자로 참여하기는 극히 어렵다”고 말했다.

퇴직연금 시장은 포화 상태에 다달은 것으로 금융권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그럼에도 지방은행들은 퇴직연금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공기업은 지역 동반 발전을 위해 추가 사업자 선정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지방은행에게는 기회”라며 “아울러 기존 기업들이 금융기관을 변경하도록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300인 미만 사업장의 퇴직연금 의무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배상철 기자 (chulch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상철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