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 SK이노 사장 "배터리사업 연습게임 끝…제대로 베팅할 것"
생산량 1.1GWh에서 2025년까지 300만GWh로 확대
투자 여력 최소 10조...기술 개발에 역점
생산량 1.1GWh에서 2025년까지 300만GWh로 확대
투자 여력 최소 10조...기술 개발에 역점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은 30일 배터리 사업 분야에서 오는 2025년까지 시장점유율 30% 목표 달성을 위해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날 서울 서린동 SK이노베이션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금까지는 배터리 사업을 조심조심 해왔는데, 지금까지가 연습게임이었다면 앞으로는 본게임”이라며 “배터리 사업에서 제대로 된 베팅을 해보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동안 SK이노베이션은 전기차 업체 등에 대규모 수주 물량이 확보되면 해당 물량만큼씩 증설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사업을 운영해 왔다.
하지만 김 사장은 “앞으로 배터리 기술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것”이라며 “그동안 배터리 사업을 조심조심 하면서도 기술적인 부분은 놓지 않았고, 이 부분에서는 세계 톱 수준이라고 자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배터리 시장은 크게 성장하겠지만, 성능과 원가경쟁력을 갖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한다”면서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성능과 원가경쟁력을 갖춘 소수 회사의 과점체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SK이노베이션이 다임러와 현대차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것만 해도 그쪽의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시켜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시장이 지난해 25GWh에서 2020년 110GWh로, 다시 2025년에는 350~1000GWh로 초고속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같은 시장 상황 및 수주 현황을 반영해 생산량을 작년 말 기준 1.1GWh 수준에서 2020년에는 10GWh로 늘린 뒤 2025년에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 30%를 점유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시장 규모에 따라 최소 105만GWh에서 300만GWh까지 생산량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또한 한 번 충전으로 500Km를 갈 수 있는 배터리를 2018년까지, 700Km까지 갈 수 있는 배터리는 2020년 초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김 사장은 “배터리 사업이 충분한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 추가적 사업 확장 포텐셜이기 때문에 계속 가져가야 한다”면서 “배터리 응용분야, 이를테면 모빌리티 시장으로의 확장과 연계시킬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배터리 사업 확장과 관련해 별도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공부하고 있다”면서 “타이밍이 되면 성장전략으로 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김 사장은 화학 사업에서도 고부가 패키징(포장재) 및 모빌리티(자동차)용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전환키로 하고, 이를 위해 과감한 M&A를 지속적으로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를위한 실탄도 최대 10조원까지 넉넉하게 확보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지난해 영업이익 3조2000억원을 냈고, 올해 1분기도 1조원을 넘기는 등 자체적으로 충분한 자금창출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재무구조도 2014년말 8조원에 달했던 순차입금이 지난해 말 1조 미만으로 감소하는 등 개선되면서 신용등급이 올라가 추가적인 차입 여력도 확보했다”고 말했다. 그는 “2020년까지 최소 10조 이상 투자는 가능하며, 그 정도의 체력을 충분히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