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인준 앞둔 여당, 대야 관계 시나리오는?
국민의당 바른정당 표결참여, 한국당은 불참으로 가닥
'총리 이후' 고비 시작돼 향후 여야 관계 예단은 무리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안이 31일 표결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야권의 대응 방식에 따라 집권 초 여야 관계도 새롭게 정립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국민의당은 텃밭인 호남의 역풍을 우려해 ‘자유 투표’ 방식으로 총리 인준에 협조하는 방향으로 돌아섰다. 당초 문재인 대통령의 직접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선조건으로 내걸었지만, 새 정부 첫 인사에 계속 제동을 걸다가는 지지층의 비판에 직면할 수 있음을 고려했다.
바른정당은 표결에는 참석하되 당론으로 반대표를 던지기로 했다. ‘국정 발목 잡기’라는 비판 여론은 피하되 보수 진영을 의식, 캐스팅보트로서 역할을 하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아울러 민주당(120석)과 국민의당(40석), 정의당(6석) 의석수만으로도 의결정족수인 과반을 채우게 돼 반대표에 대한 부담도 적어졌다.
이렇게 되면 국민의당은 향후 국정 운영 시 인사 또는 정책 등 분야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다양한 형태로의 결합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다. 실제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도부는 대선 기간에도 ‘국민의당은 민주당과 결국 같은 뿌리’라는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바른정당 역시 표결은 거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여당과의 협상 의지와 통로는 열어둔 셈이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위장전입 배제 약속을 지키라며 `인준불가`에 방점을 찍었다. 또 표결에도 불참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민주당과 완전히 등을 돌리는 방향으로 기운 모습이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와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사퇴 압박도 가하고 있다.
전날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가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를 찾아 “반대를 하더라도 들어와서 표결하는 방법으로 해주면 좋겠다”고 설득했지만 상황 진전은 없었다. 현실적으로 민주당과 접점을 찾을 수 없다면, 향후 정국에서도 ‘야당 역할’이라도 톡톡히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다만 총리 인준에 대한 태도만으로 향후 여야 관계 양상을 가늠하기엔 무리가 크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모두 총리 이후 진행될 후속 인사청문회에 방점을 찍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야당들은 새 정부의 첫 인사인 총리 인준에는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협조하지만, 이후부터는 ‘송곳 검증’을 벼르고 있는 상황이다.
여당 내에서도 총리 이후부터 본격적인 고비가 시작될 것이라며 향후 정국을 주목하고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 사과를 요구한 것도 제대로 한번 스크래치를 내야 한다는 야권의 명분 찾기”라며 “총리는 어느 정도 넘어가겠지만, 이후 검증에서는 최악의 경우에 낙마도 생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