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내년엔 무조건 개헌정국...여당 뛰어넘는 화두 고민해야"
바른정당 첫 국민토론회, 정치적 진로와 보수 가치 논해
"보수주의 입각한 새로운 공화주의 모델 내놓아야"
바른정당 첫 국민토론회, 정치적 진로와 보수 가치 논해
"보수주의 입각한 새로운 공화주의 모델 내놓아야"
이준석 바른정당 노원병 당협위원장은 1일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해 "다가오는 개헌정국에 대한 명확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개혁보수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열린 국민토론회에서 "내년엔 무조건 개헌정국이다. 개헌을 앞두고 바른정당이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지, 어떻게 화두를 내야할지 고민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문 정부가 검찰개혁의 대안으로 공수처를 들고 왔다면 우리는 그것을 뛰어넘는, 국민들에게 개헌을 약속할 안이 무엇인지 선점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문재인 정부를 뛰어넘는 개헌안을 국민들에게 제시할 것을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쑨원의 삼민주의에 입각한 대만의 5권분립 제도(입법원, 사법원, 행정원, 고시원, 감찰원의 분리)를 '극단적' 예로 들면서 "보수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공화주의의 모델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9대 대선에서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제시한 공약의 한계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당시 유 후보의 일자리 공약이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대선 토론회에서 유 후보가 당시 문 후보의 '81만개 일자리 공약'의 재원마련에 대해 지적할 때 국민들은 다들 속 시원했을 것"이라면서도 "대안을 제시하지 못해 국민들이 답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수담론에서 어떻게 일자리를 만들어낼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안 후보가 내세운 교육개혁안에 대해서는 "신선하게 봤다"고 평가하면서도 "다만 이를 도구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데려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바른정당은 교육개혁안을 보다 더 큰 철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유승민 의원과 주호영 당대표 권한대행·정병국 전 대표 등이 참석해 인사말과 축사를 전했다. 전문가 패널로는 윤평중 한신대 철학과 교수·양승함 연세대 명예교수·홍진표 시대정신 상임이사·김성회 반딧불이 중앙회장 등이 참여했다. 또 2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을 가진 국민 패널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토론회 열기를 더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