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증권, 코스피 지수 고점 2450 예상...하반기 ‘숨고르기’ 전망
“편향적으로 낙관적인 해석 경계해야“
노동시장 변화 감지하는 것 중요, 고용문제 고려하며 대응할 필요↑
교보증권이 올해 코스피 지수의 연중 고점을 2450으로 전망했다. 또 코스피지수가 무조건적으로 오를 것이라는 편향된 주장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여름을 기점으로 수출 물량이 줄어들고 글로벌 시장을 지탱하고 있던 인플레이션 역시 둔화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은 13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동에 위치한 한국거래소에서 ‘강세장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라는 주제로 브리핑을 열고 위와 같이 주장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은 "올해 코스피 평균은 12일 집계 기준, 2160p로 산출됐다, 지난해 연간 코스피 평균(1987)과 비교하면 상승률이 빠르다“며 "교보증권은 올해 연말 예상 코스피 평균은 2200-2250정도로 추정, 이를 중앙값으로 가정할 때 올해 코스피 밴드 상단은 2450정도 내외로 형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시장에서 예상하는 코스피 지수 2600, 2700에 대해서는 올해 목표라기 보단 내년 목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증시 상승장에 대한 방향성에는 의문이 없지만 대신 시장이 가파르다보니 편향적으로 낙관적인 해석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하반기는 직접 투자자입장에서는 오히려 시장을 충분히 누릴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잠재된 시장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이렇게 올해 연중 고점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다소 부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겠지만 다만 하반기에는 정체된 가운데 적절한 포트폴리오 운영과 종목 패킹에 따라 시장을 이기는 펀드, 투자자들이 등장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어 올 여름을 기점으로 수출이 감소될 확률이 높아 3분기부터 수출 모멘텀이 현저히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6월10일까지의 수출은 전년대비 12% 감소, 올 연말까지 (수출이) 500억 달러 유지된다고 가정하더라도 3분기부터 수출 모멘텀이 현저히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까지는 수출 시장의 회복과 (기업의)이익 증가로 주가가 올랐다면 여름이 지나면서 모멘텀이 현저히 둔화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을 향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세 역시 하반기에는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는 "지난 4월까지 미국의 CPI가 약2.2% 기록했는데 당장 이번 주 발표 예정된 5월 CPI는 대략 2%로 추정하는데 당사는 대략 1.8%로 2%하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러한 모멘텀 측면의 변화가 국내증시에 대한 속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증시호황을 알리는 시그널은 노동시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용환경의 악화는 소비 감소를 일으켜서 경기침체 일으키며, 기업은 구조조정 실시해야하기 때문에 경영에서 투자억제로 인한 경기침체 확률을 높이게 된다"며 "당분간 고용시장에 대한 문제가 시장에 제기되기 이전까지는 국내증시뿐 아니라 선진국 증시는 순항을 이어갈 것으로 판단, 과거에도 주식시장 호황에 제동을 건 주요 이유가 고용문제에서 시작됐단 사례들을 다시 한 번 상기하면서 현재 국면을 대응해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