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건설업계, 한고비 넘겼지만…여전히 ‘첩첩산중’
“다행스럽게 생각하지만”…탈원전 정책 본격화될 경우 타격 우려
신고리 원전 5·6호기에 대한 ‘공사 재개’ 권고안이 20일 오전 발표되면서 건설업계에는 안도와 우려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업계에는 전반적으로 “한고비 넘겼다”는 안도의 한숨을 쉬면서도, 일각에서는 정부의 원전축소 방침에 따른 정책변화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크다.
신고리5·6호기는 지난 6월2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3개월간 공사를 일시 중단하고 공사 재개, 혹은 중단 여부를 공론 조사를 통해 결정하기로 의결되면서 갑작스럽게 공사가 중단됐었다.
이날 신고리 공론화위원회가 공사 재개를 결정했지만 100여일간 현장이 멈춰있던 만큼 곧바로 재개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공사중단에 따른 보상금 산정 및 협의와 함께 공기가 연장됨에 따른 계약 변경, 공사가 중단된 현장 점검 등 여러 관련 절차들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신고리5·6호기 시공은 삼성물산과 두산중공업, 한화건설이 맡고 있다. 해당 공사 규모는 1조1775억원으로 주관사인 삼성물산 지분이 51%이며, 두산중공업과 한화건설이 각각 39%, 10%의 지분을 갖고 있다. 주변 부대설비 공사에는 SK건설을 비롯해 크고 작은 건설사와 협력사들까지 수백개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 6월 정부가 공사 일시 중단을 발표할 당시 종합공정율은 28.8%, 시공률은 10.4%였으며 1조6000억원 가량이 들어간 것으로 추산된다. 또 원전 현장이 일시 중단되면서 발생한 피해규모는 1000억원 가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신고리 5·6호기 공사의 한 시공사 관계자는 “공사가 재개되는 쪽으로 표결이 나온 것은 다행이지만, 아직 정부에서 확정된 발표가 나지 않아 조심스럽다”며 “공사가 재개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여론이 또 부정적으로 바뀌지는 않을지, 과연 공사가 100% 다시 재개될 수 있을지 등 고민이 많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탈(脫)원전이란 기조를 내세운 것은 알겠으나, 공사비용이 적은 규모도 아니고 수조원에 달하는 현장을 갑작스럽게 중단시키는 건 너무 대책이 없는 것 같다”며 “공사비를 보상받는다고 해도 참여업체들의 손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건설업계는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될 경우 이번 신고리5·6호기뿐만 아니라 향후 원전 공사에 따른 타격에 염려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원전은 전문분야라 이와 관련한 전문 인력들에게는 갑자기 일터가 사라지는 셈인데 정부의 일자리 정책과 반하는 것 아니냐”며 “그동안 축적한 원전기술과 전문 인력손실 등 원전산업과 관련한 손실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신규원전 등의 국내 관급공사가 줄어들면 업체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급감할 것”이라며 “원전 수출을 대안으로 내세우고는 있지만 해외 영업도 국내에 건설된 원전을 바탕으로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 에너지업계 관계자도 “유럽은 신재생에너지가 대체에너지로 떠오를 여건이 되지만 우리나라는 환경적으로 그러한 여건이 안 된다”면서 “사계절이 있기 때문에 태양광에너지는 한계가 있고 풍력에너지도 풍 질이 좋지 않아 가격 대비 성능이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내에서 건설 중인 원전은 신고리 3·4호기, 신한울 1·2호기 등이 있으며 이미 공정률은 90%를 넘은 상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