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 연내 성사될까?…'사드갈등' 풀기 주목
외교부 "문 대통령 방중, 외교채널 통해 협의 진행 중"
한중 '해빙무드' 조성…'사드갈등 어떻게 푸느냐' 관건
시진핑 2기 지도부가 출범하면서 얼어붙은 한중 관계에 변화의 바람이 불지 주목된다. 특히 한중 관계의 해빙기를 가져올 '연내 한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현재 외교가에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 문제로 한중관계가 경색 국면에 빠져 있지만, 다음달 10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양자회담과 함께 연내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당장 양국 정상이 마주앉기 위해선 한중 관계의 최대 장애물인 사드 갈등의 출구전략이 우선 마련되어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다.
벌써부터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청신호는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공산당대회에서 공고한 권력을 확인시키며 국내 정치의 부담을 덜어낸 시 주석이 대외 관계에 한층 유연하게 나올 것이란 전망에 국내 중국 관련 소비주의 주가도 반등하고 있다.
한중 '해빙무드' 조성돼…'사드갈등 어떻게 푸느냐' 관건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은 지난 25일 제19차 당대회에서 공산당 총서기로 연임된 시 주석에게 축전을 보내 "본인은 가까운 시일 내에 주석과 다시 만나 올해 수교 25주년을 맞이한 한·중 관계를 다방면에서 심화시키고 실질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며,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한다"고 한중 정상회담을 제안했다.
한중정상회담을 위한 양국 간 물밑협의도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중 정상회담과 관련해 "이미 지난 7월 6일 독일 G20정상회의 계기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 간에 우리 대통령의 방중에 대해 원칙적인 합의가 있었다"면서 "외교 채널을 통해 관련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중 양국이 관계 정상화를 위한 공동성명·합의문을 발표하려 실무협상을 준비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관련 보도 내용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해 당연히 두 나라 외교라인이 움직이는 것은 가능하다"며 "하지만 중국이 한국 정부에 이런저런 조건을 걸고 정상회담 전 합의문을 요구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