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서울시 정신보건시스템' 중앙정부 도입…전국 표준화 추진


입력 2017.11.09 14:45 수정 2017.11.09 14:48        박진여 기자

정부·각 시도 관리 시스템의 표본…정신의료기관 퇴원·퇴소자 사각지대 해소

정부와 서울시의 정책 공조가 강화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구축한 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MHIS)이 전국 표준모델로 사용될 전망이다.(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각 시도 관리 시스템의 표본…정신의료기관 퇴원·퇴소자 사각지대 해소

정부와 서울시의 정책 공조가 강화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구축한 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MHIS)이 전국 표준모델로 사용될 전망이다.

지난 5월 정신건강복지법 시행으로 퇴원·퇴소한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 지원이 강화된 가운데, 정부와 서울시가 연계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목적이다.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는 9일 '정신보건사례관리시스템의 전국 서비스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시 정신보건관리시스템을 중앙정부에 이관하는 등 전국 서비스 확대에 나선다.

정부도 정신건강복지법 시행에 따른 정신보건·복지사례관리정보시스템을 구축 중이지만, 현재 각 시·도에서 자체적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아예 시스템이 없는 지역도 있어 기준이 되는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차원이다.

이에 서울시 정신보건사업 통합전산프로그램을 전국화해 정신의료기관 퇴원·퇴소자 지원 전달체계의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서울시는 1995년 정신보건법 시행 이후 각 자치구에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설립하고 지역센터 업무표준화를 위해 1999년 최초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통합전산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후 시는 2015년 정신보건기관 간 △효과적 서비스전달체계 △객관적 양적·질적 평가 △정신건강서비스 연속성 확보를 위해 개인정보보호 보완 등 공공성과 보안성을 강화했다. 이어 2016년에 시 정신보건 전 기관으로 시스템을 확대하고, 현재 170개소에서 약 1만8000명 사례관리에 실제 활용하고 있다.

나백주 시민건강국장은 "서울시 정신보건정보시스템이 전국 서비스로 확대되면서 정신건강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국가 정신보건사업의 선도적인 협력자로서 정신질환의 편견을 없애고 시민의 정신건강을 증진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와 서울시의 정책 공조가 강화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구축한 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MHIS)이 전국 표준모델로 사용될 전망이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