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금감원, 조직개편안 발표…매트리스 조직 통해 권역별 기능 보강


입력 2017.12.14 06:00 수정 2017.12.14 07:26        배근미 기자

14일 금감원 조직개편 방향 발표…권역 별 조직 '매트리스 방식' 보강

검사 과정 전반서 소비자 보호 기능 강화…연말까지 세부 개편안 확정

개편 후 조직도(안)ⓒ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최흥식 원장 취임 100여일을 맞아 대대적인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이번 조직개편은 현행 권역별 조직을 유지하면서 매트릭스 방식으로 감독목적별 체계를 보강해 구축하고 금융소비자 보호를 한층 더 강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14일 발표된 이번 조직 개편안은 전문컨설팅 기관을 통해 2개월 간의 조직진단과 금감원 안팎의 의견수렴을 거쳐 마련됐다. 그간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그에 따른 위험이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실과 새 금융감독 수요 및 여러 권역에 중첩되는 금융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감독당국의 한계가 적극 반영됐다.

이번 개편안에 따르면 기존 권역별 조직에 감독목적별 통할 체계를 매트릭스 형태로 보강하는 방식으로 기존 조직구조의 단점 보완에 나섰다. 이에따라 건전성 감독과 검사는 은행·중소서민금융 담당 부원장이, 영업행위에 대한 감독은 시장 담당 부원장이 각각 나누어 담당하도록 했다.

또한 감독 및 검사부서, 금융소비자보호처 등 조직 전반에 걸쳐 감독원 본연의 업무인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 강화에 나서도록 했다. 먼저 감독·검사부서에서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소비자보호에 나서도록 업무를 전환하고, 별도로 존재하는 금융소비자보호처에서는 민원 및 분쟁 처리 등 금융소비자 피해에 대한 신속한 구제에 나서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그동안 별도로 운영되는 민원처리와 분쟁조정 업무를 통합해 분쟁조정국으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분쟁조정1국은 보험 업무, 분쟁조정2국은 보험을 제외한 각종 민원과 분쟁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서민·중소기업지원실을 금소처 산하로 배치해 금융포용에 나섰고, 민원처리와 불법금융행위 피해예방 업무 간 시너지 효과를 위해 불법금융대응단과 보험사기대응단 등 2개 부서 역시 금소처 산하로 포함시켰다.

이와함께 조직의 비효율적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기존 수석부원장 산하에 있던 업무총괄 부문을 전략감독 부문으로 개칭하고 전 권역에 걸친 기능별 부서를 신설하거나 이동 배치해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건전성 검사와 준법성 검사, 영업점 등 각종 검사 업무는 기관별 감사국이 일괄 수행하는 한편, 타 부서와 기능이 중복되는 금융혁신국과 상황분석실 등은 폐지해 실무부서 중심으로 인력 배치에 나섰다.

또한 금융그룹감독실을 새롭게 신설해 현재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금융그룹 통합감독 수요 확대에 따른 금융그룹 차원의 리스크 전이를 최소화하도록 했다. 아울러 핀테크 성장 지원 및 전자금융업 감독은 새롭게 신설된 '핀테크지원실'에서 전담하게 된다. 아울러 금융회사의 자금세탁 방지 업무를 제고하고 오는 2020년 우리나라를 상대로 이뤄질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의 상호평가에 적극 대응해 자금세탁방지실을 신설했다.

또 그동안 많은 질타를 받았던 채용비리 등 내부 인사 개입 등을 원천 차단하고 인사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총무국 내 인사팀을 인사지원실(가칭)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간부급 직책이 많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를 수용해 선임국장 수를 기존 3명에서 2명으로 축소하고 팀 단위 조직 통폐합을 바탕으로 향후 大팀제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금감원은 올해 말까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세부적인 조직개편안을 확정짓는 한편 추후 부서장 인사 등과 함께 본격적인 조직개편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최흥식 금감원장은 "조직개편에 대해서는 아직 틀을 보완하고 있다"며 "그동안 사후적 민원에만 몰렸던 소비자 보호 업무를 불완전판매 등을 통해 미리 근절하고, 감독 과정에서 중복검사나 우월적 지위 남용을 방지하는 데 방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