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핀테크 혁신 활성화 간담회서 "신규 서비스 및 고도화 시도 적극 지원"
"유연한 금융규제 적용·비대면계약 허용상품 확대…당국 내 소통창구 마련"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핀테크 혁신'이 개별 금융서비스 발전과 금융산업의 지평을 넓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금융시장 내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서울 핀테크지원센터에서 열린 '핀테크 혁신 활성화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최 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 AI와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이 금융분야에 접목되면서 금융서비스 시장 플레이어가 다양화되고 기존 금융권에서도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현 정부는 핀테크가 추동하는 금융혁신에 우리 경제의 혁신성장을 이끌 잠재력이 있다고 보고 지난해 말 '핀테크 활성화'를 혁신성장 8대 선도산업으로 선정했다"며 "이같은 핀테크 혁신을 통해 금융서비스 발전은 물론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핀테크기업의 창업과 성장을 통해 많은 일자리 창출, 특히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번에 마련된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을 통해 총 4가지 정책방향을 제시하려 한다"며 "가장 먼저 금융혁신 주역인 핀테크 기업들이 금융시장에서 신기술과 아이디어를 꽃 피울 수 있도록 인허가 등 금융규제를 유연하게 적용하고 투자와 기술개발 등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 위원장은 "기존 금융회사들 역시 핀테크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생체인증기술과 AI 등을 활용한 자산관리와 보험서비스 등 서비스 고도화에 필요한 규제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온라인 투자일임과 신탁 등 비대면 계약 체결이 허용되는 금융투자상품 범위 역시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간편결제와 빅데이터 등 새로 등장한 신기술과 금융서비스 간 융합을 촉진하겠다는 뜻도 함께 밝혔다. 최 위원장은 "민간의 기술개발이 활성화되도록 오픈 API와 블록체인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강화하고 모바일결제 관련 제도 개선 역시 추진할 것"이라며 "모바일 간편결제 수수료 부담을 낮추고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세부 추진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융권에 대한 보안 지원 체계 강화 등과 더불어 정책의 지속적이고 효율적 추진을 위한 당국 내 소통창구를 마련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발표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산업 간 핀테크 정책을 조율하고 대외 소통창구 역할을 수행하도록 최고핀테크책임자(CFO)를 지정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핀테크기업들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시장에 안착시키고 소비자 이익과 편의성 제고를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