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은행권 늘고, 2금융권 줄고…3월 중 5조 증가
금융위원회, 2018년 3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발표
"은행권 대출, DSR 및 다주택 양도세 등으로 일시적 급증"
최근 2금융권 가계대출 감소의 영향으로 국내 금융권 가계대출 규모가 1년 전보다 개선세를 나타냈다. 다만 DSR 등 각종 규제와 계절적 요인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권 가계대출 규모를 살펴보면 3월 중 국내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약 5조원 수준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000억원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가계대출 증가규모 역시 13조4000억원 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9000억원 줄었다.
은행권의 경우 지난달 가계대출규모가 4조3000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이는 전월 대비 1조8000억원, 전년 대비 1조3000억원 가량 증가한 수치다. 특히 개별대출을 중심으로 한 주택담보대출이 2조8000억원 늘면서 전월보다 1조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금공 양도를 포함한 개별대출 증가세 역시 지난 2월 1조3000억원에서 2조원으로 확대됐다.
주담대 뿐 아니라 신용대출 증가세의 영향으로 기타대출 역시 1조5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월과 비교해 8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조1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반면 2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는 감소세를 보였다. 3월 중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치는 7000억원 수준으로 2월보다 1000억원 줄었고 지난해(2조5000억원)와 비교해서도 1조8000억원으로 감소했다. 업권 별로는 저축은행과 여전사가 전월과 동일한 1000억원, 5000억원의 증가세를 나타냈고, 6000억원 규모의 가계대출 증가세를 보였던 보험업권은 한달 새 1000억원의 개선세를 나타냈다. 상호금융업권 가계대출 증가세 역시 전월과 유사한 수준으로, 1년 전(1조9000억원)보다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올 1분기 가계대출 증가규모가 최근 2년 간에 걸쳐 최저수준을 기록하는 등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만 DSR 시범운영에 따른 대출 선수요, 이사철 전세대출 증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조치에 따른 일시적 요인의 영향으로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6년 1분기 3만2500여건, 2017년 1분기 기준 3만1200여건이었던 서울시 주택매매거래량은 올해 1분기 들어 5만4600여건으로 급증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향후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부담 증가, 주담대 규제 강화에 따른 신용대출 및 자영업자대출 증가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선제적인 가계부채 관리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조속한 시일 내에 가계부채 위험요인 점검에 따른 대응계획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