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20% 고소득층, 해외소비 절반 차지
국회 예산정책처 “고소득층 국내 소비 확대되도록 고급상품 개발해야”
국회 예산정책처 “고소득층 국내 소비 확대되도록 고급상품 개발해야”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해외소비가 전체 가구 해외소비의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진작을 위해 고소득층의 해외소비를 국내로 돌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28일 발표한 '우리나라 해외소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전체 가구의 해외소비 가운데 5분위가 차지하는 비중은 49.6%였다.
같은 해 5분위 가구의 소득 비중은 38.0%, 소비지출 비중은 31.2%로, 해외소비 비중보다 10%포인트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소비는 국민이 해외에서 쓴 돈을 의미한다. 우리 국민의 해외소비는 그동안 꾸준하게 늘었고 국내 소비의 증가 속도보다 빨랐다.
해외소비는 지난 2000~2009년 연평균 14.5%, 2010~2017년 연평균 8.7% 상승했다. 같은 기간 국내 소비는 각각 3.6%, 2.1%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해외소비는 소득수준의 상승에 따른 해외여행 수요 증가와 관련이 깊다. 보고서는 소득이 1% 증가할 때 해외소비가 1.47%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국내 소비에 비해 해외소비만 지나치게 늘면 민간소비 증가가 국내 경제 개선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하게 된다.
보고서는 "국내 관광과 교육산업 등 서비스업 경쟁력 확대로 해외소비를 국내 소비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고소득층의 소비가 국내에서 확대될 수 있도록 고급 상품·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