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1Q 영업이익 반토막…“NCC 정기보수‧ESS 화재로 일회성 비용↑”
매출 6조6391억, 영업익 2754억, 순이익 2119억
“2세대 전기차 물량 확대 등으로 실적 개선 전망”
매출 6조6391억, 영업익 2754억, 순이익 2119억
“2세대 전기차 물량 확대 등으로 실적 개선 전망”
LG화학이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로 인한 일회성 비용 증가 등으로 올 1분기 영업이익이 반토막이 났다.
LG화학은 올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7.7% 감소한 2754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발표했다. 매출액은 6조63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정호영 LG화학 COO(최고운영책임자)는 1분기 실적과 관련해 “석유화학부문은 주요 제품 스프레드 회복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됐으나 대산 나프타분해시설(NCC) 정기보수로 개선폭이 크지 않았다”며 “전지부문은 계절적 비수기 영향과 함께 국내 ESS 화재에 따른 일회성 비용 등으로 적자를 기록해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밝혔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석유화학은 매출 3조7488억원, 영업이익 3986억원을 기록했다. LG화학은 “원재료 가격 안정화, 고객의 재고확충 수요로 인한 주요 제품의 스프레드 회복 등으로 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전지는 매출 1조6501억원, 영업손실 1479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ESS 화재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및 자동차‧IT 분야의 계절적 영향으로 출하량이 줄어들면서 영업적자를 봤다는 설명이다.
첨단소재는 매출 1조2339억원, 영업이익 35억원으로 나타났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1435억원, 영업이익 118억원을 기록했으며, 자회사인 팜한농은 매출 2280억원, 영업이익 382억원을 기록했다.
정호영 COO는 2분기 실적전망과 관련해 “유가 상승 등 대외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석유화학부문의 NCC 정기보수 종료, 전지부문의 2세대 전기차 물량 확대 등에 따른 매출 증대 및 수익성 향상으로 전반적인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