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실태조사, 2018년 말 기준 4만7000명 부족
“석·박사급 전문인력 확대 등 미스매치 해소 필요”
오는 2028년까지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지능형로봇 등 4대 유망신산업에 16만8000명(2018년대비 6만3000명↑)이 필요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2018년 말 기준으로 4대 유망 신산업에 참여하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산업기술인력은 총 10만5000여명, 부족인력은 4755명이며, 평균부족률 4.3%로 주력산업 평균부족률(2.2%)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대 신산업분야 사업체는 총 3500여개로 100인 미만 중소기업 비중(81.7%)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인력은 주로 신규채용과 기존 재직자 직무전환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신산업분야에서는 대학학부 및 석·박사급 인력부족률이 기존 12대 주력산업 대비 높은 부족률로 나타나는 추세다. 특히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인력부족률이 7.1%로 조사돼 신산업분야에서도 인력공급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분야별로는 디지털헬스케어의 경우 2018년 말 기준 3만8050명(부족률 7.1%, 부족인원 2900명)이 종사 중이다. 2028년에는 6만3048명(2018년대비 2만5000명↑, 연평균증가율5.2%)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분야는 생명공학 전문지식과 데이터 분석능력을 함께 갖춘 융합 인력이 필요함에 따라 인력수급에 애로가 크다. 기업은 신규 채용 후 자체 교육을 통해 인력 부족 해소에 노력 중이다. 보건학(35.6%), 생명공학(13.9%) 전공자를 선호하고 있다.
스마트·친환경선박은 2018년 말 기준, 3만5549명(부족률 2.6%, 부족인원 932명)이 종사 중이다. 2028년에 4만9217명(2018년대비 13만7000명↑, 연평균증가율 3.3%)이 필요하다.
산업 구조조정 여파 등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국내·외 환경규제 대응 및 자율운항 선박 개발을 위한 인력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친환경 선박 분야 기업에서는 기계공학(40.5%) 전공자를, 스마트선박 분야 기업에서는 조선해양공학(44.2%) 전공자를 선호한다.
항공드론은 2018년 말 기준 4823명(부족률 4.3%, 부족인원 215명)이 종사 중이다. 2028년에는 9258명(2018년대비 4만4000명↑, 연평균증가율 6.7%)이 필요하다.
드론시장 확대(저가·소형→고가·중형) 등 기술개발 필요성 및 관련분야가 초기단계로 연구개발 인력수요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은 전기·전자공학(48.7%), 기계·금속공학(20.2%) 전공자를 선호한다. 향후에도 석·박사급 연구개발 인력비중이 늘어나는 분야다.
지능형로봇, 재조사는 2018년 말 기준 산업기술인력은 2만6338명으로 2016년 말(1만6323명) 대비 1.6배 증가, 부족률은 2.6%(부족인원 708명)다. 2028년에 4만6567명(2018년대비 2만명↑, 연평균증가율 5.9%)이 필요하다.
인력증가 요인은 ▲산업간 융합으로 산업범위 확장(5만2000명) ▲신규 참여 기업 증가(3만1000명) ▲기업성장에 따른 인력 증가(1만7000명)으로 조사됐다.
제조로봇분야 인력 비중이 여전히 높으며, AI·5G 등 신기술 접목으로 전문서비스 로봇분야 인력이 약 3배 수준(2016년 대비)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산업부는 이번 조사결과 4대 신산업에 공통적으로 부족률이 가장 높게 조사된 석·박사급 인력양성을 올해 확대 추진을 계획 중이다. 내년에는 바이오·헬스분야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신규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요-공급간 인력 미스매치 해소 및 산업계 인력수요를 전달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협업을 강화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교육부 신산업분야 대학정원조정 및 특성화고 학과개편 등과 관련해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를 통해 산업계 수요를 전달했다”며 “재직자를 대상으로 신기술분야 직무전환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도록 고용부와 직업훈련체계 개편에 대해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