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나이스신용평가 등 2곳에 '기관주의' 및 임원 대상 제재 조치
지자체 신용등급 아닌 자체 신용도 적용…서울신용평가도 제재 대상
최근 최영 부회장 아들 최 모 병사의 '황제군복무' 논란으로 CEO리스크가 불거진 나이스금융그룹 계열사 나이스신용평가가 신용평가업무를 부실하게 처리하다 금융감독당국으로부터 ‘기관주의’ 등 제재조치를 부과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 모 병사 아버지인 최영 부회장이 속해 있는 나이스그룹 산하 나이스신용평가는 기업에 대한 회사채, 기업어음 등에 대한 신용평가 시 자본시장법 상 규정돼 있는 지원주체인 지자체 신용등급이 아닌 자체 신용도를 적용하다 당국 제재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자체신용도는 정부 지원 가능성을 반영해 최종 신용등급을 결정하기 전 단계로, 해당 지자체의 자체 채무상환능력만을 반영한 신용도에 해당한다. 회사가 제정, 공시한 '공공부문 평가방법론 공기업 총론'에는 지원주체의 신용등급에서 등급을 하향조정해 최종등급을 결정하도록 돼 있으나 현행 신평사는 규정된 방침과는 별개로 신용평가에 나서거나 다른 신용평가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지난 2018년 당시 모 기업의 회사채와 어음 등 5개 신용평가 시 공공부문 평가방법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지원주체인 B지자체의 최종 신용등급이 아닌 해당 지자체 자체 신용도로부터 1등급 하향적용한 최종등급을 결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체 신용도는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 아닌 해당 지자체의 자체 채무 상환능력만을 반영한 신용도를 의미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타 지자체에 대한 신용평가방법이 국내 지자체를 평가할 당시 적용하는 방법으로 해외 지자체인 모 지역의 신용평가에 적합하지 않음에도 이를 적용한 채로 신용평가를 해왔다"며 "2017년부터 2년여 간 진행된 B기업 회사채 및 기업 등 6건의 신용평가 시에도 미래 전망을 근거로 규정 상 모형 등급보다 2~3등급 상향해 신용등급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감원은 나이스신평사를 대상으로 한 회사채 신용평가 내부등급에 대해서도 실무방안을 마련하고 신용평가시 모델등급 조정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금감원은 이에 해당 기업을 대상으로 회사채 신용평가를 위한 내부등급에 대해서도 실무방안을 마련하고 신용평가시 모델등급 조정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또한 금감원은 해당 기업을 대상으로 회사채 신용평가를 위한 내부등급에 대해서도 실무방안을 마련하고 신용평가시 모델등급 조정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선 '황제 병사' 부친으로 지목된 최영 부회장은 나이스홀딩스 사장을 지내다가 지난해 12월 나이스그룹 부회장으로 승진한 인물로 심의영 나이스평가정보 부회장과 그룹 공동 부회장을 맡고 있다. 그룹 오너였던 고(故) 김광수 회장이 2018년 별세한 후 회장 자리가 공석인 상황에서 사실상 그룹 전반을 이끌고 있다.
한편 나이스신평과 함께 감독당국 제재를 받은 또다른 신평사인 서울신용평가는 지난해 B회사에 대한 신용평가 실시 당시 모 회사의 지원가능성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모 회사 신용등급이 아닌 무디스가 평가한 국가등급을 감안해 지원능력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원가능성 단계를 결정하지 않고 임의로 지원가능성을 반영해 자체신용도에서 1등급 상향해 펀더멘탈 등급을 결정한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서울신평은 자체신용도에 계열의 유사 시 지원가능성을 반영해 펀더멘탈 등급을 결정한다"면서 "계열의 유사 시 지원가능성의 경우 계열의 지원능력, 지원의지 수준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평가방법론에서는 지원능력, 지원의지 수준을 고려해 지원가능성을 평가하고 지원가능성 단계를 구분해 노치 조정 수준을 결정하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