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펜실베니아주 보건당국 불허 방침으로 PNC 구장 사용 못해
로저스센터 이어 PNC마저 불발되면서 홈구장 없는 시즌 보낼 듯
류현진(33·토론토 블루제이스)이 60경기로 펼쳐지는 ‘초미니 시즌’ 내내 원정경기를 치러야 하는 불편한 상황에 놓일 수도 있게 됐다.
23일(한국시각) ‘AP 통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 펜실베니아주 보건당국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피츠버그 PNC파크에서 ‘홈경기’ 치르는 것을 불허했다.
보건 당국은 “최근 몇 주 동안 펜실베니아 남서부에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했다. 우리는 모든 펜실베니아인들의 건강을 지키는데 전념한다”고 불허 의사를 밝혔다. 엄중한 시기에 불필요한 방문객 유입으로 인한 확산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다.
토론토 블루제이스로서는 답답한 상황이 됐다. 메이저리그 30개 구단 가운데 유일하게 캐나다에 연고지를 둔 토론토는 홈구장이 위치한 온타리오주 토론토 로저스센터에서 올해 정규시즌 경기를 치르지 못한다.
캐나다 연방 정부는 자국의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로저스센터에서 정규시즌 경기를 치르게 해달라”는 토론토 구단의 요청을 거절했다. 선수들의 2주 자가격리 면제 조치도 허용하지 않았다.
캐나다 연방 정부의 단호한 입장에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대체지 물색에 나섰다.
스프링캠프 시설이 있는 미국 플로리다주 더니든 TD볼파크와 산하 마이너리그 트리플A 팀의 홈구장 뉴욕주 버펄로 샬렌필드가 유력한 대체지로 거론됐지만, 플로리다주에서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증해 선수단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워 제외했다. 샬렌필드는 메이저리그 경기를 치르기에 시설 수준이 떨어진다.
그래서 찾은 곳이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홈구장 PNC파크다.
전날까지만 해도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이번 시즌 피츠버그와 PNC파크를 공동 사용하는 방안이 유력했다.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구단도 적극 환영했다. ‘에이스’ 류현진에게도 PNC파크는 나쁘지 않다. 세 차례 등판해 승리투수는 되지 못했지만 평균자책점은 2.37로 좋았다.
그러나 팬실베니아 보건 당국의 불허로 계획이 헝클어졌다.
PNC파크와 함께 대체지로 거론됐던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홈구장 캠든 야즈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볼티모어는 AL 동부지구팀으로 홈경기 일정이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겹치지 않는다. 그것도 어렵다면 토론토 블루제이스는 2020시즌 모든 홈경기를 원정팀 홈구장서 치러야 할 수도 있다.
코로나19로 하루에도 6~7만 명씩 확진자가 발생하는 미국에서 프로야구리그를 개막한다는 것 자체에 비판적인 시선이 많은데 일각에서는 “MLB 사무국의 안일한 대처가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2020시즌을 더욱 어렵게 했다”고 비판한다.
한편, 류현진은 오는 25일 오전 7시40분 미국 플로리다주 세인트피터즈버그 트로피카나필드에서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시즌 개막전에 선발 등판한다. LA다저스 시절이던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개막전 선발이다. 탬파베이에는 인천 동산고 후배 최지만도 소속돼 한국인 투타 맞대결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