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KT, 일반 스마트폰 ‘도청’ 막는 양자암호기술 개발


입력 2021.03.10 09:48 수정 2021.03.10 09:48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일반 스마트폰 간 비화통신 구현…전용 단말 불필요

양자난수 생성기·양자키 분배시스템 적용해 보안 강화

KT가 10일 스마트폰 간 비화통신이 가능한 양자암호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양자암호 비화통신 기술을 시연하는 모습.ⓒKT

KT는 전용 단말을 사용하지 않고도 양자암호 비화(祕話)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비화통신은 전용 단말인 비화기를 활용해 도청을 방지하는 통신 방식이다. 통신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발신하면 수신자는 해당 데이터를 원음으로 전달 받는다. 보안이 핵심인 국방 분야와 국가정보기관 등에서 주로 쓰인다.


KT가 개발한 양자암호 기술을 적용하면 일반 스마트폰만으로도 비화통신이 가능하다. 민간 기업에서도 보안 강화를 위한 양자암호 비화통신 시스템을 이전보다 손쉽게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기술 핵심은 스마트폰에 연동하면 음성통화를 암호화 하는 ‘양자 보안통신 단말’이다. 비화통신 시 수신자와 발신자의 스마트폰에 각각 양자 보안통신 단말을 연결하면 보안 모드가 활성화 되며 통화 내용이 암호화 된다. 암호화된 통화 내용은 보안 모드에서 동기화된 양자암호키로 복호화 된다.


KT는 ‘양자난수 생성기(QRNG·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와 ‘양자키 분배시스템(QKD·Quantum Key Distributor)’을 결합한 기술로 보안성을 강화했다. QRNG는 특정 규칙과 알고리즘이 없는 양자난수 배열을 생성한다. QKD는 이 배열에서 양자암호키를 생성해 양자 보안통신 단말에 전달한다.


기존에는 QRNG 하나로 암호화했지만, QKD를 추가 적용하면서 정보 보안 수준을 한층 높였다. 또 양자암호키 없이는 복호화가 불가능하다.


KT는 이 기술을 국내 보안 스타트업 이와이엘(EYL)과 공동 개발했다. 이와이엘은 미국 공군 보안 시스템 핵심 기술로 선정된 초소형 양자암호 칩 개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 상무는 “이와이엘과 KT의 기술력을 합쳐 철통보안 양자암호 비화통신 서비스를 개발했다”며 “국내 양자암호통신 산업 생태계 확립에 기여하고 디지털 플랫폼 기업(디지코·Digico)으로의 혁신을 주도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김은경 기자 (e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은경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