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영변 핵시설 재가동에 입장 밝혀
"한미 간 일치된 인식 바탕 대화 모색"
청와대가 31일 북한의 영변 핵시설 재가동과 관련해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가 지속되는 상황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북 관여가 시급하다는 방증"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영변 핵시설 재가동과 관련해 청와대는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한미 간에는 현재 상황에 대한 일치된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과 대화를 적극 모색해 나가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영변의 핵 활동 동향 관련해서는 우리 정부가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북한 핵미사일 활동을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해 왔다"며 "북한의 핵 활동, 미사일 동향을 한미 정보 양국이 면밀하게 살피고 있었다는 점 다시 한번 명백하게 말씀드린다"고 했다.
이는 백악관이 영변 핵시설 재가동에 대해 내놓은 입장과 유사하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원자로 가동 정황이 지난달 초부터 있었다고 분석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보고서와 관련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이룰 수 있도록 대화와 외교에 대한 긴급한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평가했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이 보고된 활동 및 비핵화 관련 모든 이슈를 다룰 수 있도록 북한과 대화를 계속 추구하고 있다"며 "북한 관련 진전 사항에 대해 동맹 및 파트너들과 긴밀히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국무부도 '대화의 시급성'을 강조한 백악관 성명과 동일한 내용의 답변을 내놨다. 이를 두고 미국이 북한의 추가 도발을 자제하기 위해 상황 관리에 나선 것이라고 해석됐다. 그간 '대화를 위한 인센티브는 없다'고 강조한 미국이 한국과 인도적 지원 사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이끌어내려 한다고 분서됐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이날 "대화와 협상의 테이블은 결코 멀리 있지 않다. 정부는 남북이 서로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보다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인도주의 협력의 길에서 다시 대화를 시작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지난달 통신연락선이 복원됐을 때 정부가 북한의 영변 핵시설 가동을 파악하고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또한 '남북 간 평화를 지향한 문재인 정부가 임기 5년 동안 국방비를 36.9%나 증액했다'는 지적에는 "군비증강과 튼튼한 국방력은 한반도 비핵화나 항구적 평화 정책을 위한 전제조건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