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선대위 쇄신론에 "보완하겠다"
일각 "김종인 나온다는데, 전면 쇄신해야"
양정철도 "희한한 선대위 구조" 쓴소리
"자기 정치 계산만…악역도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선거대책위원회 구성과 관련해 ‘쇄신’을 요구한 가운데, 민주당 지도부가 “보완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면 쇄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해찬 전 대표가 전권을 쥐고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이와 무관치 않다.
17일 중앙선대위 총괄본부장단 회의를 마치고 취재진과 만난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지금의 선대위는 선거를 치르는 기본적 골격을 과거와 크게 다르게 가져간 것은 아니다”며 선대위 쇄신론에 대해 일단 거리를 뒀다.
다만 “국회의원 중심의 선대위로는 부족한 게 아니냐는 초선 의원들의 요청에 공감한다”며 “전 구성원이 노력해 인사를 영입하고 필요한 곳에 모셔서 국민 목소리를 전달하고 소통하는 역할을 해나가며 미비한 부분을 보완하겠다”고 일부 수용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면 쇄신’이 불가피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의원 중심의 ‘선수’와 ‘관례’에 따른 선대위 구성으로는 보완을 하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국민의힘에서 선대위 원톱으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거론되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민주당 선대위 핵심 의원은 “후보의 당선 만을 위해 전권을 가지고 사심 없이 선대위를 이끌고 나갈 사람이 필요하다”며 “현재의 선대위 구조는 책임소재도 불분명하고 의사결정이 느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야당에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이 전권을 가지고 등장하면, 민주당도 이 전 대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분출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국회를 방문해 영입인재·비례대표 의원모임 간담회에 참석한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도 비슷한 취지의 말을 했다. 신현영 대변인이 전한 비공개회의록에 따르면, 양 전 원장은 “책임 있는 자리를 맡은 분들이 벌써 마음속으로 다음 대선, 다음 대표나 원내대표, 광역 단체장 자리를 계산에 두고 일하고 있다”며 “탄식이 나온다”고 했다.
또한 “선대위도 처음 보는 체계로 매우 우려스럽다. 취지와 고충을 이해 못 하는 바는 아니지만 권한과 책임 다 모호하다”며 “후보의 핵심 측근들과 선대위 주요 멤버들이 악역을 자처하고 심지어 몇 명은 정치를 그만둘 각오까지 하고 후보 중심으로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하지 않으면 승리가 어렵다”고 지적했다.